명절음식인 산적은 왜 만들게 되었나요?
명절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많이 만들고 가장 좋아하는것이 산적이라고 하더군요 고기하고 햄 파 버섯등 골고루 끼워서 기름에 붙이는 것이라고 하는데 산적은 왜 명절에 만들어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적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 누르미라는 요리가 누름적으로 변형되었으며 이것이 적으로 이어집니다.
여기서 적이란 단어 자체가 구이요리를 뜻하며, 이 단어를 이름으로 가진 요리에서 갈라져 나온 요리라고 합니다.
누르미는 생선, 고기, 야채를 찌거나 구워 뭉근하게 만든 뒤 걸쭉한 즙을 끼얹어 마무리한 한국의 전통 요리. 선과 비슷하나, 현재의 산적의 직계 조상격 된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녹말을 넣은 즙액을 붓는 요리보다는 기름에 지지거나, 직접적으로 불에 굽는 요리가 향이 더 진하다는 이유로 당대 사람들에게 선호되게 됩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누르미는 점차 지짐, 구이 요리로 변하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누름적입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지금의 산적이 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적은 우리의 전통 음식 입니다. 규곤시의방에서 등장하는 동아적의 조리접이 지금의 산적과 유사한 것을 미루어 조선 시대 중엽에 조리법이 완성 된것으로 추측되며 궁중발기(宮中撥記) ,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에 그 조리법이 보이고 있디고 합니다. 산적의 종류는 육산적·어산적·송이산적·파산적·떡산적·잡산적·섭산적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조리서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보이는
동아적의 조리법이 지금의 산적과 같은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중엽에 이미 그 조리법이
완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산적이라는 용어는 『궁중발기(宮中撥記)』 ·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에 보이고 있다. 산적의 종류는 육산적 · 어산적 · 송이산적 ·
파산적 · 떡산적 · 잡산적 · 섭산적 등 다양하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조리서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보이는 동아적의 조리법이 지금의 산적과 같은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중엽에 이미 그 조리법이 완성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산적은 이를 튼튼하게 한다고 하여 이굳히산적이라 불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