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23.09.18

명절음식인 산적은 왜 만들게 되었나요?

명절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많이 만들고 가장 좋아하는것이 산적이라고 하더군요 고기하고 햄 파 버섯등 골고루 끼워서 기름에 붙이는 것이라고 하는데 산적은 왜 명절에 만들어 먹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9.1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적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전, 누르미라는 요리가 누름적으로 변형되었으며 이것이 적으로 이어집니다.

    여기서 적이란 단어 자체가 구이요리를 뜻하며, 이 단어를 이름으로 가진 요리에서 갈라져 나온 요리라고 합니다.

    누르미는 생선, 고기, 야채를 찌거나 구워 뭉근하게 만든 뒤 걸쭉한 즙을 끼얹어 마무리한 한국의 전통 요리. 선과 비슷하나, 현재의 산적의 직계 조상격 된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녹말을 넣은 즙액을 붓는 요리보다는 기름에 지지거나, 직접적으로 불에 굽는 요리가 향이 더 진하다는 이유로 당대 사람들에게 선호되게 됩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누르미는 점차 지짐, 구이 요리로 변하게 되었고 이것이 바로 누름적입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지금의 산적이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적은 우리의 전통 음식 입니다. 규곤시의방에서 등장하는 동아적의 조리접이 지금의 산적과 유사한 것을 미루어 조선 시대 중엽에 조리법이 완성 된것으로 추측되며 궁중발기(宮中撥記) ,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에 그 조리법이 보이고 있디고 합니다. 산적의 종류는 육산적·어산적·송이산적·파산적·떡산적·잡산적·섭산적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조리서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보이는

    동아적의 조리법이 지금의 산적과 같은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중엽에 이미 그 조리법이

    완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산적이라는 용어는 『궁중발기(宮中撥記)』 · 『진찬의궤(進饌儀軌)』 등에 보이고 있다. 산적의 종류는 육산적 · 어산적 · 송이산적 ·

    파산적 · 떡산적 · 잡산적 · 섭산적 등 다양하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조리서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보이는 동아적의 조리법이 지금의 산적과 같은 것으로 미루어, 조선시대 중엽에 이미 그 조리법이 완성된 것으로 추측됩니다.

    정월 대보름에 먹는 산적은 이를 튼튼하게 한다고 하여 이굳히산적이라 불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