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건강상담
영특한느시270
영특한느시27022.01.06

코로나19확진자 다인실입원??

코로나19로 확진으로 인해 입원 시 다인실로 입원하는 경우가 많던데 괜찮은건가요?

퇴원 할때쯤 새로운 확진자가 오면 재감염 될 확률은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몸에 항체가 형성중이고 이미 감염되었기 때문에 재감염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다인실 인원 배치는 재감염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 하면서 진행하게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코로나 19 확진시 병원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다인실 입원하는 경우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 걸릴 가능성 있습니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 매우 낮기는 하겠지요.

    다인실 이용하게 된다면 마스크 잘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원칙적으로는 1인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 코로나 상황에 따라 충분한 병상 수를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불가피하게 다인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인실을 사용할 때는 교차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만큼 더욱 더 조심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재감염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어쩔 수 없는 상황입니다.

    즉 코로나 전용 병동 등이 많이 확보되어 있다면 1인 1실이 가장 좋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의료 병동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다인실을 이용하더라도 서로 접촉하지 않고 조심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08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재감염의 가능성이 적지만 존재할 수 있으며 다인실의 경우 경험적으로 환자간 재감염으로 인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특이적으로 보고되지는 않아서 현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병상부족으로 인해 1인실치료는 어렵고 대부분 2인실치료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퇴원할 때 새로운 확진자가 오면 재감염될 확률이 없는지 궁금하시군요.

    일반적으로 1인실 이용을 권장하지만, 현재 코로나 확진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1인실이 없을 시, 일반 환자와의 동선을 분리시킨 병동에 확진환자 다인실 병실 사용 가능합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되는 과정에서 면역력이 생기기 때문에 새로운 확진자로 인해 감염될 확률 자체가 매우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1인실이 가장 좋습니다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다인실이라도 입원을 해서 치료받는게 이득이므로

    이것 저것 따질 때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치료받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백신 접종과 유사하게 2-3개월간 항체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확진기간 격리가 끝나는 시점에도 재감염이 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이상적으로는 모든 환자가 1인 병실을 쓰는 것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병상수 문제나 의료진이 충분치 않으므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되어 다인실에 입원하여도 어차피 병실 전원이 다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들이기 때문에 괜찮습니다.

    2. 퇴원할 때 쯤 새로운 확진자가 와도 항체가 만들어진 감염 직후의 상태이기 때문에 재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를 내뿜는 감염자 가까이에서 공기를 들이마실 때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가 다른 사람의 눈, 코, 입에 묻을 때. 특히,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튀는 경우

    -바이러스가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질 때

    가장 전파가 잘되는 경로 3가지입니다

    개인위생 철저히 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완치될 쯤에는 이미 몸에 항체가 존재하게 되고, 몸에 바이러스의 사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바로 재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어느정도 장기간 시간이 흐르고 항체의 수가 감소하게 되면 재감염될 가능성이 있지 완치되자마자 재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현재 병상 부족으로 인하여 다인실을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재감염의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다인실의 경우에는 가능한 비슷한 확진일자의 환자끼리 같은 병실에 들어가시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