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4.04.03

지구의 대기권을 층상구조로 나눌 때 각각의 영역의 높이는 어떻게 되나요?

지구의 대기권을 층상으로 구분할 때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게 되는데 각각의 경계는 지상으로부터 몇 km의 높이에 형성이 되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1. 대류권: 지표면에서 대략 0~16km 높이에 형성됩니다.

    2. 성층권: 대략 16~50km 높이에 위치합니다.

    3. 중간권: 대략 50~85km 높이에 형성됩니다.

    4. 열권: 대략 85k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권은 크게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며 각 층의 경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류권: 지표면에서 약 11km까지 이어지는 층이며, 대기 전체 질량의 75% 이상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태양 에너지 흡수, 대류 현상, 날씨 발생 등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성층권: 대류권 위 약 50km까지 이어지는 층이며, 오존층이 위치하여 태양으로부터 오는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합니다.

    중간권: 성층권 위 약 85km까지 이어지는 층이며, 대부분의 유성이 탈모하는 곳입니다.

    열권: 중간권 위 약 600km까지 이어지는 층이며,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매우 높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각 층의 경계는 고도에 따라 온도 변화, 대기 구성 성분, 주요 특징 등을 기반으로 구분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권의 층은 조성(組成)뿐만 아니라 온도나 그 밖의 물리적인 성질이 높이에 따라서 다르며, 다시 몇 개의 층으로 분류된다. 지구 대기권은 특성에 따라 지표면에서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의 다섯 층으로 나눌 수 있다. 대류권은 극지방에서는 지표면으로부터 7–8 km 정도까지의 영역이며, 적도지방에서는 더 높아 18 km 정도까지의 영역이다. 성층권은 대류권 위쪽에 위치하며, 대략 지표면으로부터 50km 정도까지의 영역이다. 중간권은 지상 50km에서 80km까지의 높이이며, 야간운이 생기기도 한다. 열권은 지상 80–90 km에서 시작하여 500–1000 km까지의 높이이며, 오로라가 생기기도 한다.

    출처 : 위키백과 - 지구 대기권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권은 지표면 위로 멀리 이어지는 4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요 즉 지면으로부터 8~18km까지 이어지는 대류권, 50km까지 이어지는 성층권, 성층권 위에 놓인 중간권(50~80km) 과 열권(80km 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는 구성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4가지로 나뉩니다.

    대류권 : 0~10 킬로미터

    성층권 : 10~45 킬로미터

    중간권 : 45~80 킬로미터

    열권 : 80 킬로미터 이상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뉘며

    10km 정도 까지 대류권, 50km 정도까지 성층권, 80km 정도까지 중간권, 그 이상이 열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