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3.29

외국인이 좋아하는 치맥 우리나라 고유 음식문화인가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문화가 세계적인 관심사가 되었는데요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오면 하고 싶은것이 한국인들이 즐겨하는 치맥(치킨+맥주)을 하고 싶다고 하다는 여론조사를 봤습니다 치맥은 우리나라에서 생긴 우리나라만의 음식문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튀긴 닭과 맥주를 함께 마셨을 수 있으나 그것을 정형화시키고 "치맥"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낸 것은 우리나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애초에 우리나라는 배달 서비스가 매우 잘 되어있기 때문에 햄버거나 피자, 그리고 치킨 등의 패스트푸드가 매우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러면서 치킨의 종류나 맛이 향상되고, 맥주와 궁합이 맞는다는 걸 알게 되면서 치킨과 함께 맥주를 마시게 된 거죠.

    그것이 유행이 되고, 한류 드라마에서도 치맥을 먹는 것을 보면서 해외에까지 유명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치킨과 맥주를 함께 먹는 것은 종전에도

    있었지만, 치맥이라는 단어가 대중화된 것은 2010년 이후다.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과 한국프로야구의 중흥으로 치킨과

    맥주를 먹는 문화를 일컫는 치맥이라는

    단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치맥은 20세기 말쯤에 나타나 시작되었는데 KFC가 80년대 중반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높은 인기를 구가하던 생맥주와 궁합을 맞추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고 페리카나에서 시작했다는 추측이 있습니다.

    치맥은 한국의 유구한 전통문화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치맥은 한국에서 생긴 음식문화입니다. 치킨은 1960년대부터 도입되어 점차 보급되었고, 맥주는 1980년대부터 수입되어 한국에서도 생산되기 시작한 뒤 대중적인 음식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치맥은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는 것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문화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K-Pop과 K-Drama 등 한국 문화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 상승과 함께 치맥 문화도 함께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을 여행할 때, 치맥을 즐기는 것이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치맥은 한국에서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이지만,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치맥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문화라기 보다는, 한국에서 시작되어 글로벌한 인기를 얻은 음식 문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에는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에 여행을 와서 치맥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에 있는 한국 음식점에서도 치맥이 인기 있는 대표적인 한국 음식 중 하나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치맥을 즐기는 문화는 비교적 최근에 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음식 문화로는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외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하면서 치맥을 즐기는 것은, 한국의 현대적인 문화와 음식문화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만의 문화는 아닙니다. 유럽의 나라들도 치킨에 맥주 많이 먹고 그들이 먼저 그렇게 먹었습니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열풍 등으로 한국에서 축구를 보면서 치킨에 맥주 먹는 모습이 많이 생겨나고 이것이 K-컨텐츠를 통해서 세계인들에게 노출되다 보니 하나의 문화가

    되어 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치맥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문화라기 보다는 최근에 생겨난 음식 문화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외국에서도 물론 그러한 조합은 있었습니다만 한국에서 유달리 많이 먹는것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