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먹는 떡국은 장수의 의미라는데 맞는가요?
우리가 고대 시대부터 설날아침에 흰가래떡을 만들어서 떡국을 먹는의미가 한살 먹는것도 있지만 가래떡같이로 길게 오래 장수하라는 의미라는데 맞는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떡국에 사용하는 긴 가래떡은 가래떡을 뽑을 때 떡을 길게 뽑듯 재산도 그만큼 늘어나고 무병장수하라는 의미가 담겨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날에 먹는 떡국의 상징은 엄숙과 청결이라고 합니다.
최남선도 『조선상식』에서 매우 오래된 풍속으로 상고시대의 신년축제시에 먹던 음복적(飮福的) 성격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즉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종교적 사상에서 깨끗한 흰 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되었다고 본 것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무병장수 떡국에 사용하는 긴 가래떡처럼 장수하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떡은 끊기지 않고 길게 뽑을수록 좋다고 하여 떡을 뽑을 때 자르지 않고 최대한 길게 뽑는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날에 흰 떡을 끓여먹는 것은 고대의 태양 숭배 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설날은 새해의 첫날이므로 밝음의 표시로 흰색 떡을 사용, 떡국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둥근 태양을 의미합니다.
가래떡의 모양에 시루에 찌는 떡을 길게 늘여 가래로 뽑는것은 재산이 늘어나라는 축복의 의미와 둥글게 썰어 둥근 모양이 엽전과 같아 재산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떡국에 사용하는 가래떡은 색이 하얗고 길어 보통 국수처럼 장수를 기원하는 음식이므로, 떡국 또한 장수를 기원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시는데로 한국풍속세시사전에 따르면 떡국은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무병장수를 뜻합니다.
설날에 떡국을 먹기 시작한 날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시인 최남선의 『조선상식』에 따르면 상고시대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을 '백탕' 혹은 '병탕' 이라 적고 있는데,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이라 했다고 합니다. 또한, 떡국은 정조차례(새해에 행해지는 차례)와 세찬(새해에 세배하러 온 분들을 대접하는 음식)에 없으면 안 될 음식으로 설날 아침에 반드시 먹었고, 손님이 오면 꼭 대접했다고 합니다. 흔히 우리는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먹는다.' 고 표현하는데요, 실제로 옛 사람들도 나이를 물을 때 "병탕 몇 사발 먹었느냐." 라고 묻기도 했답니다.
그럼 깊이있는 질문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래떡이 희고 길다보니 그러한 상징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런 의미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에서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상고시대 신년축제시의 음복적 성격에서 피롯되어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새로운 한해의 첫날에 청결하고 엄숙한 의미의 원시 종교적 차원에서 깨끗한 흰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되었다고 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 선조들은 새해 첫날 정결한 흰떡과
자극적이지 않은 국물을 먹으며 한 해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고자 했습니다.
떡국의 재료인 가래떡에는 장수를 기원하고
한 해를 밝게 보내자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