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깍듯한푸들251
깍듯한푸들251
23.04.09

에디슨의 직류-교류 전쟁 때 에디슨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에디슨의 직류-교류 전쟁 때 에디슨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교류 분야 최고 기업인 웨스팅하우스가 사용한 교류가 직류보다 더 좋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23.04.0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에디슨과 웨스팅하우스 사이의 직류-교류 전쟁은 19세기 말에 전기 산업이 발전하면서 벌어진 일입니다. 이때 에디슨이 개발한 직류 전기와 웨스팅하우스가 개발한 교류 전기의 경쟁이 있었습니다.

    에디슨이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입니다. 에디슨은 독자적으로 발명한 직류 전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상용화하여 가정용 전기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에디슨은 교류 전기보다 안전성이 높다는 주장을 펼쳐 광고를 하면서 교류 전기의 위험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인구층은 에디슨의 직류 전기를 선택하였습니다.

    반면 웨스팅하우스는 교류 전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이를 대량 생산하는 능력이 에디슨만큼은 아니었습니다. 또한 웨스팅하우스는 에디슨의 광고 캠페인에 대응하는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여 교류 전기의 위험성에 대한 반박이 늦어지면서 이미 에디슨의 직류 전기가 대중적으로 수용되어 있던 상황에서 경쟁을 벌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교류 전기 기술이 발전하면서 웨스팅하우스가 전기 산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결국에디슨은 직류 전기를 떠나 광학 기술 등 다른 분야에서 성공을 이루었으며, 웨스팅하우스는 교류 전기를 발전시키며 전기 산업에서 선두에 서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에디슨은 직류-교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하기엔 어렵습니다.

    에디슨은 직류(DC) 시스템의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테슬라는 교류(AC)의 경제성을 강조했습니다.

    현재도 그렇지만 당시 직류는 전기를 멀리 보내기 힘들어서 소비지와 가깝게 발전소를 설치해야 했습니다. 반면 교류는 각 지역에서 변압기로 전압을 바꿔주기만 하면 쉽게 전기의 제공이 가능했기 때문에 교류가 널리 퍼졌습니다.

    이에 따라 변압이 용이한 테슬라의 교류는 에디슨이 장악하던 직류 시장에 파고들며 교류가 전기 시장을 선점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에디슨의 직류 방식으로 미국 전역에 전기를 공급하던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테슬라의 교류시스템을 선택하면서 전쟁이 시작도었다고도 할 수 있지만 아직도 그 전쟁은 ING가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