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의 세균이 대장에서의 세균과 마주치면 무슨일이 일어나고 자리를 왜 못잡는건가요?
외부의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와도 자리를 못잡는다고 들었고 유산균도 마찬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외부 세균이 대장에서의 자리잡고있는 세균과 마주치면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왜 자리를 못잡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은 다양한 방어 기전을 통해 외부 세균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대장 내부에는 이미 다양한 세균 군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세균이 들어와도 경쟁력이 부족하여 자리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은 외부 세균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세균이 대장 내부로 침입해도 빠르게 제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산균은 유익한 세균으로 대장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여 유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여 외부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외부 세균이 대장 내부의 세균군과 마주치면 경쟁력이 부족하여 자리를 못잡고, 유산균이 대장 내부의 환경을 유지하여 외부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의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와도 자리를 못잡는다는 것은 맞는 이야기입니다. 이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외부 세균을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유산균은 외부 세균과는 다릅니다. 유산균은 우리 몸의 대장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외부 세균과 마주치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산균은 대장에서 계속 자리를 잡고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외부 세균과 대장에서의 세균이 마주치면 먼저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외부 세균을 제거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과정에서 외부 세균과 대장에서의 세균이 싸우게 되는데 이때 대장에서의 세균은 외부 세균을 무력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대장에서의 세균이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도와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는 유산균이 대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특별한 방어 기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산균은 대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장 내부의 환경을 조절하고 대장에서의 세균과 경쟁하며 자신의 영토를 지키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어 기전들이 유산균이 대장에서 계속 자리를 잡고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외부 세균이 대장에서의 세균과 마주치더라도 우리 몸의 면역 체계와 유산균의 방어 기전 덕분에 외부 세균은 대장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제거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 몸은 외부 세균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장내의 세균은 끊임없이 세대를반복하며 대장내환경에 적응한상태이고, 외부에서들어온 몇몇 세균들은
이 환경에 적응해나가는 와중에 영양분과 수분의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죽게됩니다.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안의 세균은 인체의 항체에의해 즉 백혈구가 이를 장착못하게 섬멸시키죠. 그리하여 유익한 균만 남게되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 세균이 사람의 대장에 들어가면 대장균과
다양한 상호 작용을 하게 됩니다.
대장은 이미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는 복잡한 생태계입니다.
외부 세균은 영양분, 공간, 생존에 필요한 요소들을 확보하기 위해 대장균과 경쟁해야 합니다.
대장균은 장기간 진화 과정을 통해 대장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외부 세균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외부 세균은 대장균과의 경쟁에서 대부분 패배하여 장 밖으로 배출됩니다.
일부 외부 세균은 대장균과 공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공존 관계는 상호 보조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부 세균은 대장균에게 영양분을 제공하거나, 대장균은 외부 세균에게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 세균은 대장균의 유익한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질병 유발균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외부 세균이 유해한 경우, 면역 체계는 이를 공격하고 제거하기 위해 활성화됩니다.
면역 반응은 백혈구, 염증 반응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면역 반응은 외부 세균을 제거하는 동시에 대장균을 포함한 유익한 미생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외부 세균이 대장에 자리잡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장균은 이미 대장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외부 세균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외부 세균이 유해한 경우, 면역 체계는 이를 공격하고 제거하기 위해 활성화됩니다.
장의 운동은 외부 세균이 장 벽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장 밖으로 배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일부 외부 세균은 위 요소들을 극복하고 대장에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 세균은 면역 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에 머물 수 있으며
병원성 세균은 면역 체계를 공격하여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부 세균이 사람의 대장에 들어가면 다양한 상호 작용을 통해 공존하거나 경쟁하며
면역 체계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외부 세균이 대장에 자리잡을 수 있는지 여부는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 세균이 우리 몸에 들어와도 자리를 못잡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우리 몸에는 이미 자리잡고 있는 상주 세균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외부 세균이 자리를 잡지 못하도록 경쟁합니다. 상주 세균들은 영양분과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부 세균이 필요로 하는 물질을 생산하는 등 외부 세균의 성장을 방해하는 물질을 분비하기도 합니다.
둘째,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외부 세균을 공격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면역 체계는 외부 세균을 인식하고 공격하는 백혈구와 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부 세균이 우리 몸에 정착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외부 세균이 대장에서의 자리잡고있는 세균과 마주치면, 상주 세균과 면역 체계의 공격에 의해 제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외부 세균이 일부 살아남더라도, 장기간 정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려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