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윰난나
윰난나

옛날 왕의 이름은 왜 외자로 지은 것인가요?

옛날 왕은 세자의 이름을 지을때 지금의 이름 처럼 짓지 않고

외자 형식으로 융 , 혈, 금, 등

외자로 이름을 지었다고 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옛날 왕의 이름이 외자인 이유는 백성들의 불편함을 최대한으로 줄여주기 위함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들이 이름을 외자로 택한 이유는 바로 백성들이 살기 편하라고 했던 것이라고 합니다.

    왕들의 이름은 함부로 입에 올려서는 안되었고 글자를 쓰는 것도 금기시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왕의 이름이 긴 경우에는 백성들이 피해야 할 글자도 많아지고 바꿔야 할 명칭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이름을 한 글자로 줄여서 백성들의 언어체계를 흐트리지 않았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성의 이름에 왕의 함자가 들어가는 것을 금기시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를 기휘 (忌諱)라고 하비다. 기는 ‘꺼리다’, 휘는 ‘피하다’는 뜻인데 문집이나 비석 등 금석문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왕실에서 펴낸 의궤나 각종 책자를 발간할 때도 왕의 이름이 나오면 그 부위에 붉은 비단을 붙여 볼 수 없도록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백성의 불편을 덜기 위해 왕의 이름을 외자로 지은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