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매너있는고래296
매너있는고래29623.04.15

화산은 어떻게 폭발하나요? 화산이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티비에서 아직도 활동중인


화산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화산은 어떻게 만들어진거고


어떻게 왜 폭발하는건가요?


우리나라에도 화산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속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나와 용암 등이 쌓여 만들어진 산체이다. 지구의 화산활동 대부분은 바다 밑에서 일어나며,[1] 바다 밑 화산의 분출물이 해수면보다 높이 쌓이면 화산섬이 된다. 독도, 제주도, 하와이, 카나리아 제도, 아이슬란드, 산토리니 등이 대표적인 화산섬이다.


    법률상 화산은 '땅속 깊은 곳에 있는 마그마가 지표 또는 지표 가까이에서 분화하여 화산재·화산가스 등이 발생하는 현상'이다(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 법률상 화산의 정의는 지형이 아니라 화산 분출 '현상'을 뜻한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폭발은 지하에 있는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나오면서 발생합니다. 마그마는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녹아 있는데, 지표면으로 나오면서 기압이 낮아지면서 가스와 함께 폭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은 지하에 있는 마그마나 액체 상태의 용암이 지표면으로 향해 분출되는 자연 지형입니다. 화산 폭발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체로 마그마가 지하에서 상승하면서 지표면으로 분출될 때 발생합니다.

    폭발적인 화산 폭발로, 이는 화산 내부의 산소와 함께 존재하는 가스가 지하에서 상승하면서 마그마와 섞이면서 발생합니다. 이때 가스와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되면서 폭발적인 화산 폭발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은 지하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마그마가 벌어진 지각의 틈을 통해 지표 밖으로 분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분출 전 마그마방에 모인 마그마는 점차 압력이 높아지며 마그마방을 누르고 있는 지각의 힘보다 강해지면 결국 분출하게 되는 것이죠.

    우리나라의 백두산과 한라산은 대표적인 활화산입니다. 휴화산이라 하기도 하지만 학계에서는 활화산으로 분류하며 활화산의 정의도 만족하는 대표적인 활화산입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은 마그마라 불리는 용융된 상태의 암석이 자신의 압력을 견디지 못해 폭발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암석은 왠만한 온도에서는 녹지 못합니다만, 물이 섞이게 되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용융된 상태로 있을 수 있지요...

    그럼 땅 속으로 물은 어떻게 공급되었을까요? >_< 지하수를 떠올리셨겠지만, 실제로 마그마가 생성되는 곳은 지하 수십 Km나 되는 깊은 곳이고, 지하수는 들어가지 못합니다. 지하 깊이 들어가는 물은 바로 "해구"를 통해 공급됩니다.

    이 해구는 사실 바닷속 해령에서 시작되는 바다의 팽창이 끝나는 점이고, 바다 지각이 대륙지각으로 끌려들어가는 곳이기도 하지요... 이때 바다 지각 뿐만이 아니라 물도 같이 끌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 물이 나중에 마그마의 생성 및 화산의 폭발에도 지대한 영향을 영향을 주게 되지요...

    이렇게 들어간 물은 지하 깊숙한 곳의 암석과 섞여서 암석을 녹이게 되고, 들어간 수증기의 압력으로 조금씩 지반의 암석을 쪼개며 상승하게 됩니다. 이 마그마가 지표 근처까지 오게되면 지하수의 공급도 합세하여 큰 압력을 나타내게 되는데, 지표가 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여 폭발하는 것이 바로 화산 폭발입니다.

    화산의 폭발 원인을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유치원생은 물론 중학교 저학년까지 거의 불가능한 일로 보이는데요... >_< 위의 설명은 질문 주신 분께서 이해하시고, 아이에게는 가장 마지막 부분만 이야길 해 주시길... :)

    딱히 이해를 시키기 어렵다면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해 주세요... 냄비에 물을 붇고 뚜껑을 덮은 채로 계속 끓이면 처음에는 그냥 물이 끓다가 나중에는 냄비의 뚜껑이 들썩거리게 되는데, 그렇게 들썩거리는 것이 화산 폭발과 같은 거라고 말이지요... 이 경우, 냄비 뚜껑은 땅에 해당하고, 물은 마그마(아이에게는 용암이라고 말해두세요..)에 해당하며, 실제로 화산 폭발을 일으키는 힘(뚜껑을 들리게 하는 힘)은 수증기의 압력이라고 말이지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은 지구 내부의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나오는 곳입니다. 지구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액체인 마그마가 존재하고, 지각 변동, 지진, 온도 변화, 지하 수압 변화 등이 발생하면 이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나올때는 고압의 특성으로 분출하듯이 나오는데 그게 바로 화산폭발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산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지구 내부에서 뜨거운 용암과 기체, 물질이 지구 표면으로 분출되어 쌓이면서 형성됩니다. 이때 용암이 표면으로 분출되면서 공기와 만나면서 빠르게 냉각되면서 화산암이 형성됩니다.

    화산이 폭발하는 이유는, 용암과 기체가 차곡차곡 쌓이면서 화산 내부 압력이 커져서 폭발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 대표적인 화산으로는 한라산, 백두산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한라산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며칠전 러시아에서 화산폭발이 있었습니다. 화산활동은 현재진행형입니다.


    화산을 이해하려면 지진을 이해해야 하는데요.

    지진은 지구 내부의 급격한 지각변동에 의한 지반의 진동현상입니다.


    -> 지반진동이 단층으로 이동한다면 지진이고,

    -> 이때 마그마가 분출하면 화산입니다.


    단층운동은 양쪽의 접해있던 면이 상하로 움직이거나 좌우로 움직이며, 양면이 동시에 분출하는 경우도 있다.


    지진이나 화산은 판의경계에서 주로 발생한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