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잘난나무늘보98
잘난나무늘보9823.11.16

고도가 높으면 정말 산소의 양이 줄어드나요??

고도가 높으면 산소의 양이 부족해 높은산을 등반할때 산소통을 메고 가는것을 본적있는데요 정말 고도가 높으면 산소양이 줄어드나요?? 그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은 산을 등반할 때 산소통을 메고 가는 것을 본 적이 있으시다니 정말 멋지시네요. 그런데 고도가 높으면 산소의 양이 줄어드는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아야 할 것 같아요.

    우선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면 산소 분자들이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산소 분자의 농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게 고도가 높을수록 산소의 양이 줄어드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공기 분자들이 더 많은 열을 잃게 되어 산소 분자들의 운동이 둔화되고 따라서 산소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더 적은 양의 산소가 생산되게 됩니다.

    그리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습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습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적어지게 되는데 수증기는 산소 분자들과 상호 작용하여 산소 분자들의 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습도가 낮아지면 산소 분자들의 운동이 더 둔화되어 산소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의 양이 줄어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공기의 압력 온도 습도 등의 변화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도가 높은 산을 등반할 때는 산소통을 메고 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산소 부족으로 인해 체력이 떨어지고 건강에도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으면 산소의 양이 줄어듭니다. 그 이유는 지구의 대기권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 표면을 중심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도가 높아지면 대기의 압력이 낮아지고, 그에 따라 산소의 양도 줄어들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6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의 양이 줄어듭니다 그이유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를 붙잡는 중력이 약해지기 때문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