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사람은 잘때 왜 꿈을 꾸게 되는 건가요?
사람이 잘때 꿈을 꾸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왜 꿈을 꾸게 되는 건가요?
꿈을 꾼다는건 뇌가 활동한다는 것일텐데
자면서 왜 뇌가 활동을 하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뇌는 잠을 자는 상태에서도 일부 깨어 있습니다. 하여 뇌는 깨어 있을때 입력되어 있는 기억과 정보를 무작위로 되살리고 작동하게 됩니다. 즉 꿈은 무의식상태에서 무작위로 뇌가 일으키는 심상 즉 ,자극없이 마음속에 떠오르는 영상 입니다.
과학적 측면에서 보는 꿈을 꾸는 이유는 렘 수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안구의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는 상태인 렘 수면은, 얕은 잠을 자고 있는 단계 입니다.
이 단계에서 수면 중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고, 이것이 꿈입니다.
즉,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은 깊이 잠을 못 잔다는 의미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은 자면서도 뇌가 활동하기 때문에 꾸게 되는것입니다. 잠을 잘 때 우리 몸에서 특정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뇌에도 영향을 줍니다. 영향을 받은 뇌는 뇌의 부분 부분에 신호를 보내게 되죠. 그러면서 뇌는 활발하게 활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활동이 꿈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시각, 청각, 후각 등 여러 감각도 결국 뇌가 판단하는 감각이기 때문에 뇌의 활동으로 인해 실제로 있는거처럼 착각을 가져온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