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모기는 어떤 시대부터 있었을까요?

모기는 공룡이 살았던 시대에도 생존했었다고 알고있는데, 언제부터 모기가 태어난 것으로 추정하나요? 과거의 모기와 현대의 모기는 진화과정에서 어떤 차이를 보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보다 깁니다. 현생 인류의 조상이 600만년전에 나왔다고 알려져 있는데 모기는 2억년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견된 화석은 호박이란 나무의 진액속에 발견된 모기의 조상인데 약 8000만년전에 존재했던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모기의 역사라고 할정도로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질병을 옮기기에 말라리아라는 질병을 옮겨 기원전 300년 알렉산더 대왕이 아시아를 말라리아 모기 때문에 정복을 하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인류의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살충제의 개발도 다양해지면서 인류에게 해를 끼치는 모기를 안전하게 제거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역시도 이러한 모기의 박멸에 따라 많이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모기를 완전히 제거하면 안되는 것이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는 곤충과 작은 동물들의 먹이이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하면 안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약 2억 3천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당시 모기와 현재 모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크기입니다. 고대 모기는 현재보다 훨씬 컸는데, 날개 길이가 최대 16cm까지도 달했다고 합니다. 평균적으로는 현재 모기 날개 길이의 약 2.5배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본질적인 생김새나 행동 양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암컷 모기는 피를 빨아먹고, 수컷은 식물 즙액을 섭취하는 등 기본 생태는 유사합니다. 따라서 고대와 현재의 모기는 크기만 다를 뿐 거의 똑같은 생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약 2억 5천만 년 전에 탄생했다고 추정됩니다. 공룡이 살았던 시대에도 모기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모기는 오랜 기간 동안 지구상에서 존재해온 생물로, 다양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진화해왔습니다.

    과거의 모기와 현대의 모기는 진화과정에서 몇 가지 차이를 보입니다. 예를 들어, 모기의 살점이 더 얇아지고 날카로워졌으며, 혈액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발전했습니다. 또한, 모기의 살점에는 혈액을 응고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혈액을 흘리지 않고 흡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모기는 본래 식물의 수액을 먹는 것에서 혈액을 먹는 것으로 진화했습니다. 이는 생식에 유리하며, 혈액을 통해 영양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