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4.03.27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의 선명도는 대단한데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찍은 사진들을 보면 선명도가 높아 정말 아름답게 느껴지는데요. 찍은 사진이 실제 그 모습인지 아니면 어떤 처리를 한 모습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사진들은 실제 천체를 촬영한 이미지이지만, 맨 눈으로 보는 모습과는 다릅니다. 망원경은 적외선을 포착하여 흑백 이미지를 촬영하고,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으로 변환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아주 멀리 있는

    천체들의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망원경이 찍은 이미지들은

    처리 과정을 거쳐 우리가 볼 수 있게

    만들어집니다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된 원본 데이터는

    대개 광범위한 파장의 빛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적외선 영역의 빛을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다양한 과학적 목적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되며 이 과정에서

    색상이 추가되거나 대비가 강조되기도 합니다

    일부 이미지는 특정 원소의 존재를 보여주거나

    온도 범위를 강조하기 위해

    색을 입히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처리는 천체의 실제 모습을

    더 잘 이해하고 과학적 연구에

    도움을 주기 위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사진들은 천체의 '진짜' 모습이라기보다는

    천체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돕기 위해

    어느 정도 처리된 이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처리 과정을 통해 우리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우주의

    더욱 깊고 세밀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이는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WST)이 촬영한 사진은 실제로 우주에서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이 망원경은 초기 우주의 별빛을 포착하는 데 사용되며, 지구에서 약 40억 광년 떨어진 SMACS 0723 은하단을 찍은 사진은 역대 가장 선명한 적외선 사진 중 하나입니다. 이 사진은 주변에 더 먼 은하에서 수십억 년 이동한 빛도 담겼습니다. 웹 망원경은 또한 태양계 밖 멀리 떨어진 행성을 탐사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환경인지 알아내는 데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사진은 우리가 이전에 본 적 없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해주며,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이 사진을 보면서 미국의 능력에는 한계가 없다는 것을 상기시켰습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계 망원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사진은 웹 망원경의 첫 번째 임무 수행 능력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임ㅁ스 웹 우주 망원경은 먼곳의 우주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진은 실제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종 색상의 강조나 구조 등을 명활하게 하기위해 이미지 후처리를 가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