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지진에서 안전한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제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 파주시입니다.
일본이 지진이 많은 지역이라는 것은 익히 들어 알고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주변국가인 중국, 일본에 비해 안전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근래들어 포항, 강화도에서도 지진이 일어나는 등 그 빈도가 높아지는 느낌입니다.
내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 지진에서 안전한 지역인지? 활성단층이 있는 지역인지? 등 궁금한데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혹시 그런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있다면 사이트 링크도 부탁드립니다.
국가 지질정보센터(KIGAM)가 지진 및 활성단층과 같은 지질학적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공식적인 기관입니다. KIGAM은 지질조사 및 지질정보를 통해 지질위해성 평가와 관련 정책 및 안전성 제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별 위험도를 확인하고 안전한 지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KIGAM의 웹사이트(www.kigam.re.kr)에서는 각 지역의 지질학적 정보와 지진 위험도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지역의 지질정보맵을 검색하면 지역의 지질학적 정보와 활성단층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진 예측과 관련한 정보는 기상청 지진해일대응본부(www.weather.go.kr/eqvol)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 위험성과 활성단층 등 지진재해 정보를 제공하는 곳으로는 국지원(한국지진재해정보센터)과 기상청이 있습니다. 국지원의 경우 파주시와 같은 특정 지역의 지진 등재표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기상청은 지진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지진이 발생한 경우 즉시 지진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진속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지반 및 지진재해 등 안전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우리나라 내 모든 지역의 지진 등재표와 지반안정성 등 지진재해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 기관의 사이트 주소입니다.
국지원 한국지진재해정보센터 : http://www.kigam.re.kr/
기상청 지진정보 : https://www.weather.go.kr/weather/earthquake_volcano/domestic.jsp
국토지리정보원 안전정보 : https://www.ngii.go.kr/main.do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이 일어나는 지역에서는 안전하다고 완전히 보장할 수는 없지만,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안전한 경우가 있습니다. 안전한 지역을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이 대표적입니다.
지진 위험 지도: 지진 발생 가능성과 규모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위험도를 나타낸 지도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지진 위험도를 나타내는 지진위험도평가지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안전성 평가: 건축물의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물 등을 검사하여 안전성 여부를 판단합니다.
지진 예측 정보: 일부 지역에서는 지진 예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진 예측은 아직까지 정확도와 신뢰성이 높지 않아서 국제적으로는 지진 예측을 보다 발전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지역에서도 지진 발생 가능성은 있으며, 지진 대비 준비물품 등을 항상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지진 발생 시 행동할 대처 방법을 미리 학습하고, 대피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 안전성에 대한 평가는 지진 위험성, 지진 발생 가능성, 그리고 건축물 및 인프라 등에 대한 지진 대응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대략적인 지진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진 위험 지역 파악: 국가 기상청이나 지진 관측소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지역의 지진 위험도를 파악합니다. 대부분의 지진 관측소는 지진 위험도를 색으로 나타낸 지도를 제공하며, 빨간색일수록 지진 위험도가 높습니다.
건물 및 시설물 안전성 확인: 해당 지역의 건물과 시설물이 지진에 얼마나 잘 대처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국가나 지방 정부에서는 건물의 지진 안전성 등을 평가하는 지진 안전성 평가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건물이나 시설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지진 대응 능력 확인: 해당 지역의 지진 대응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합니다. 지진 대응 능력은 지역 주민들의 지진 대처 능력과 지방 정부나 국가의 대응 시스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