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개월 아기가 어린이집을 가기싫어합니다 자연스럽게 보낼 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제 두돌 지난 25개월 아기인데 어린이집을 가기 싫어해요 아침마다 전쟁인데 자연스럽게 잘 보낼 수있는 노하우가 있을까요? 좋은방법있으면 답변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다녀온 후에 보상을 주는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자 갔다 왔다면 칭찬을 해주고 아이가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서 활동하게 해주면서
어린이집을 다녀온것이 즐거운것이라는것을 인지시켜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어린이집 가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에요.
따뜻한 엄마 품에 있다가 상대적으로 통제받고 규칙이 있는 어린이집에 가게 된다는 것이
아이는 불편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이죠. ~
인식을 바꿔주도록 해요. 어린이 집에 가면 재미있는 놀이도 하고, 놀아주는 선생님도 있으며,
또 무슨 일이 있으면 엄마가 언제든 달려올 수 있다는 편안함도 주셔야 합니다.
보통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아이들은 적응을 하면서 그런 증상은 저절로 없어질 거에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가기 싫어하는 원인을 우선 파악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린이집 환경이나 학습과정이 어려워서인지 아니면 부모와 함께 있는 것이 좋아서인지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통해 파악하신후 해결하는 것을 권합니다.
위와 같은 이유가 아닌 단지 어린이집을 가기 싫어하는 것이라면 시간이 조금 지남으로 인해
해결될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 안 갈래! 가기 싫어! 하며 울면서 떼를 쓰면, 엄마, 아빠의 마음은 철렁할 겁니다.
성인인 우리들도 새 직장, 새 환경에 스트레스를 받는데 아이들은 자유로운 집보다는 규율과 규칙이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을 가기 싫어하는 건 어쩌면 당연할 겁니다.
아무 준비 없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 버리면, 모든 아가들은 분리 불안이 생길 것입니다.
아이와 먼저 주말에라도 할머니 댁이나, 친척 집에 방문해서 낯을 익힌 후 하룻밤 정도 떨어져 보는 연습을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등원 하원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해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엄마가 정해진 시간에 돌아온다는 인식을 심어줘야 합니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떨어져 있는 연습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를 등원시킬 때는 단호하게 행동해야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적응기간을 제대로 잘 보내지 못한 영유아들 중 뒤늦게 적응기를 다시 갖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특히, 처음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가 부모와 울지 않고 떨어지고 어린이집에서도 잘 적응해 기특해 한 경험이 있다면 뒤늦게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실랑이할 확률이 높습니다. 유난히 엄마를 찾으며 어린이집에 가지 않으려고 할 때에는 가정 내에 자녀가 불안을 느낄만한 요소는 없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보고, 불안 요소를 없애 아이가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잘 다녀오면
스티커를 주고 이를 모아서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 등을 사주는 등 하여
동기부여를 심어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처음에 아이가 어린이집에 익숙해 지기 전에 엄마로부터 떨어짐을 겪게되면 계속해서 가기 싫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렵겠지만 어린이집 측에 양해를 구하고 아이와 함께 어린이집에서 놀아주며 어린이집이라는 공간에 좋은 기억을 만들어 주시는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