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11

조선이 지향했던 학문이 어떻게 성리학이 되었던 것인가요?

우리나라가 지금 유교문화, 즉 성리학의 바운더리 안에서 살아가고 있고 나라의 근간이 되고있는데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학문이 바로 이 성리학이었죠. 그런데 어떻게 해서 이 성리학이 조선 학문의 기초가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명종과 선조 때에 이황과 이이 등 뛰어난 학자들의 연구에 힘입어 조선 성리학으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굳혔습니다.

    그래서 성리학이 기초가 된것입니다.


    당시의 학자들은 벼슬을 하면서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들 학자들은 성리학에 너무 열중한 나머지, 성리학만이 옳고 그 밖의 다른 학문은 모두 그르다는 배타적 정신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불교는 물론 같은 유학 계통이지만 흐름이 다른 양명학마저도 배척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통치 이념이 성리학인 게 정도전이 재상 중심의 정치와 왕도 정치를 강조한 점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존의 고려의 것들을 없애고 부정하면서 조선만의 이념을 세우다보니 당시의 유교가 채택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송나라의 성리학은 고려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오게 됩니다.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는 신진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성리학에 대한 관심이 즘폭되었던 시기입니다. 야은 길재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는 물론이고 조서을 설계한 삼봉 정도전 등이 대표적인 성리학자들이었습니다. 특히 정도전은 성리학에 입각하여 조선의 기틀을 마련했기에 조선의 정치 교육의 바탕이 된 것입니다. 4대문도 동대문을 흥인지문 서대문을 돈의문 남대문을 숭례문 북대문을 홍지문이라 칭하고 종로에 보신각을 두어 성리학의 오상 즉 인의예지신에 입각하여 명명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