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정겨운코알라237
정겨운코알라23723.01.02

산 정상에 올라가면 아래에 구름이 보입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면 산아래 구름이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구름은 하늘에 있어야 하는데 왜 산 아래에 구름이 보이는거죠?

이것도 과학적으로 설명이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형성 높이는 대략 125*(지상 온도 - 이슬점 온도)로 계산하면 맞습니다. 만약 이보다 높은 산에 올라간다면 구름을 아래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상승응결고도에 도달하면 형성이 됩니다.

    상승응결고도란 지표면의 건조한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이슬점(물방울이 만들어지는온도)에 도달하게 되며 그때부터 구름이 만들어 지는거죠~ 근데 공기의 습도에 따라 낮은 높이에서 응결될수도 있고 높은 온도에서 응결될수도 있기때문에 구름높이는 상황에따라 변하게 되죠~

    아마 산에 올라가셨을때 발 밑에 구름이 있었다면 아마 습도가 높은 시기에 기온이 많이 떨어지는 시기였을꺼에요~~^^


  • 정확히는 구름이 아니라 안개입니다.

    구름과 안개의 생성 원리는 거의 동일하며,

    지표면 근처에서 나타난다면 안개, 대기권 상층에 나타나면 구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