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4.18

구름은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등산을 하면서 높은 산에 대두분 바람이 불어도

올라가는 쪽의 산에 구름이 만들어진 것 같을텐데요.

구름을 끼면 흐리고 비가 오는 경우가 있는데

구름은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햇빛에 증발되어 생기는 수증기가 먼지 등의 물질과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떠있는 것. 안개와 사실상 성분은 같으며, 지표면과 닿아 있는 것을 안개, 지표면과 떨어져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한다. 때문에 산 중턱에 걸린 구름은 그 산에 올라가 있는 사람에게는 안개이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고도에서 냉각되어 작은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체로 변화한 것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고 일정한 기온 이하에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이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바다나 호수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대기높이 올라가 차가운공기와 만나면서 액화된 후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 형태로 존재하는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냉각되면 공기 중의 수증기는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로 변해 대기 중에 떠 있게 되는데 이게 바로 안개나 구름 알갱이인 거야. 높은 하늘의 구름 알갱이들은 기온이 낮기 때문에 얼어서 작은 얼음 알갱이로 있기도 하지요. 구름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기가 냉각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