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내추럴한스라소니42
내추럴한스라소니4222.11.02

이명 때문에 매일 스트레스 받고 있습니다.

나이
4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아연 비타민비
기저질환
120~130고혈압

안녕하세요.

이명 때문에 매일 스트레스 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이빙인후과 이명약 받아 먹곤했는데

낫지 않아서 여럿 곳 다녀보니

이명 치료제 없다고 하던데 맞나요? ㅜㅜ

그래서 저는 평소 이어폰이나 헤드폰 끼고 갖가지 소리를 강제로 듣는 편입니다...

많이 스트레스인데요 정말 이명을 일으키는 장기라도 제거하고 싶은 맘입니다.

고민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이명은 대부분 기존에 발생한 청력 저하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진료 및 검사를 통해 청력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명은 조용한 곳에서 더 크게 느껴지므로 이명에 대한 과도한 걱정으로 인해 이명이 더욱 악화되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이명의 경우 동반되는 다른 증상이 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동반증상이 없는 이명의 경우 대부분이 컨디션 저하,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푹 쉬고 컨디션이 회복되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이명과 동반하여 귀가 비행기를 탄 것처럼 멍하거나 청력저하, 어지럼증 등이 동반되면 이비인후과적인 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니 진료가 필요합니다. 만약 단독 이명이더라도 몸 상태와 무관하게 지속적 혹은 지나치게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이명증이란 밖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닌 귀 안에서 또는 머릿속에서 나는 것 같은 소리를 느끼는 것으로 마치 팔, 다리의 통증이나 두통과 같은 증상이며, ‘병’이 아닙니다.

    벌레 우는 소리, 바람 소리, 기계 돌아가는 소리, 휘파람 소리, 맥박 소리 등 여러 가지 소리로 나타나며 여러 가지 높이를 가진 음들이 섞여서 들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명증은 내이, 청신경, 뇌 등의 소리를 감지하는 신경 경로와 이와 연결된 신경 계통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과민성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여러 가지 치료방법이 현재 사용되고 있어요.

    보청기

    이명을 경감시키기 위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방법으로 주변 소음의 증가로 이명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청력의 감소가 이명의 기본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난청이 동반된 이명 환자의 경우 보청기 착용 만으로 증상이 크게 호전되기도 합니다.

    차폐장치 (Masking device)

    외부에서 어떤 음을 지속적으로 줌으로써 이명을 느끼지 않게 하는 장치이지만, 병원에서는 많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약물요법

    이명을 경감시키거나 이명증에 따른 우울, 불안이나 수면 장애를 도와주는 약제, 내이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약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약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에 의한 증상 경감 효과는 사람에 따라 다양합니다.

    이명의 습관화(Auditory habituation, Tinnitus Retraining therapy)

    최근에 개발된 치료방법으로서 여러 연구 결과에서 대부분의 이명증 환자가 호전을 보일 정도로 매우 치료 성공률이 높습니다. 이 치료 방법에서는 이명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되며, 이를 위해서 지속적인 상담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

    심한 난청과 이명이 동반되어 있고 수술로 난청을 개선하여 이명 증상 호전이 기대되는 경우,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전기자극 치료

    최근 도입된 치료로, 난치성 이명 환자 일부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 이명의 경우 스트레스에 의해서 일시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 생기면서 발생한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매일 이명이 있다면 특정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

    상급병원에서 진료를 보고 어떤 병이 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우선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