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살꼬맹이입니다 이제쫌 컷다고 그러는지
6살꼬맹이입니다 이제쫌 컷다고 그러는지 말대꾸도
하고 가끔소리도 지르기도 하는데 아직 그냥나눠도될런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진정이 될런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자기 주장이 강해지고 떼를 쓰는 경우가 많아집니다. 이러한 행동은 아이들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은 아이들의 행동에 대해 걱정하실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자녀의 떼쓰기 대처법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정 읽어주기 : 아이가 떼를 쓸 때 먼저 그 이유를 파악하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가 화가 나서 소리를 질렀구나"와 같이 말해주면 됩니다.
적절한 제한 설정하기 : 아이가 원하는 대로 다 들어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대신, 일정한 규칙을 정해놓고 이를 지키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대안 제시하기 : 아이가 떼를 쓸 때 무조건 안된다고 하기보다는 대체할 만한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시하기 : 때로는 아이가 떼를 써도 무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단, 이 방법은 일시적인 것이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타임아웃(Time-out) : 아이가 떼를 쓸 때 잠시 동안 방 안에 혼자 들어가 있게 하는 타임아웃(Time-out)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때, 타임아웃 시간은 아이의 연령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참고하여 아이의 떼쓰기에 대처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만약 아이의 떼쓰기가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아요.
아이가 소리를 지르는 것은 언어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 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언어적 소통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바로 잡아주셔야 함이 맞겠습니다.
아이가 소리를 지르고 말대꾸를 한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소리를 지르며 말대꾸를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소리를 지르며 말대꾸를 하는 행동이 왜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6세 아이는 자아가 바달하며 자기 주장을 강하게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말대꾸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진정될수 있지만 부모의 지지와 인내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말대꾸나 소리를 지르는 건 나이와 관계없이 예의가 없는 행동으로서 교정의 필요가 있으므로 행동과 태도에 따라서는 권위를 가지고 다소 단호하게 일관적으로 지도하여 문제 행동을 교정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을 하면서 자아가 생긴다고 합니다. 자아가 생기면서 부모님에게 말대꾸를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단순하게 수긍하는것이 아니고 자기 생각과 다르다면 부모님에게도 이런것을 어필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소리를 지르는것은 이와 다르게 교육을 해주셔야 됩니다. 소리를 지른다는것은 아무래도 화를 다스리지 못한다는것인데 아이가 과격해 질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는 훈육을 통해서 하지 않도록 잘 교육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6살이면 아직 미성숙한존재입니다 아이가 대화를통해 규칙을 정하시고 규칙을 준수할수있도록 이야기하시기바랍니다 아이의 의견은 존중하여 의사결정에 번영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다르지만 독립심이 강한 아이들은 엄마 아빠의 잔소리를 듣기 싫어 할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아이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기분이 안좋아 집에 오면 부모님을 대상으로 화풀이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요즘 불편하고 불안한 점이 있는지 아이와 대화를 잘 해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6살 정도되면 생각,가치관이 커지기 때문에 이런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부모님들에 대해서 감정적으로 공감받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공감을 해주세요. 또한 나쁜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안된다고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대체할 수 있는 말과 행동들을 조언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