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2.23

오랑캐란 말의 유래가 어떻게 되는가요?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고대시대부터 북방 오랑캐란 말이 많이 나오더군요. 오랑캐란 말은 처음 언제부터 생겼으며 먈의 뜻이 어떻게 되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말 고어에 오랑캐를 우량하,우량카라 표기합니다.

    용비어천가에는 우량하는 여진족의 한 부족명이라 하는데 우리말 오랑캐는 이 부족명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설은 과거 우리나라를 침공했던 몽골부족중에 지금의 몽골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우량카이족이 있는데, 고구려 전성시대에 흥안령 넘어의 국경지대에서 이 우량카이족과 항상 앙숙으로 대치해온 사이였기에 우량카이가 오랑캐의 뜻으로 전해온 것이라는 얘기도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나라에서 북방 이민족을 가리킬때 우랑카이라 했는데, 이 말이 조선에 넘어 오면서 '오랑캐'가 되었다 합니다.

    오랑캐는 다른 이민족을 멸시해 부르던 말이죠. 그래서, 북방의 유목민들 몽골족, 여진족등을 모두 오랑캐라 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들도 오랑케라 불렀습니다. 심지어 서양인들도 서양오랑캐라 불렀습니다.

    오랑캐는 우리 민족외 이 민족에 대해 멸시하며 부르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랑캐의 뜻은 야만적인 종족을 말하는 것입니다.

    중국 동북쪽 여진족을 우리는 오랑캐라고 하였습니다.그러나 중국을 통틀어 오랑캐라고도 하고 일본을 오랑캐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조선에서는 만주에 거주한 옷치긴 왕가의 후예인 몽골계

    3부족을 명나라에서 우량카이족의

    후손이란 뜻에서 우량카이 3위라

    지칭했던 것의 영향을 받아 조선

    북방의 이민족들을 몽땅 오랑캐라

    불렀다.

    -출처: 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랑캐는 15세기 중국 동북지방에 분포하여 살던 여진족을 이르던 말이 광범위하게 쓰인것입니다.

    야만스러운 종족이라는 뜻으로 침략자를 업신여겨 이르던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랑캐란 말의 유래는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지만, 다양한 이론들이 있습니다.

    일부 이론에 따르면, 오랑캐란 말은 모모리아(아시아 북동부) 지역에서 처음 생겨났다고 합니다. 모모리아 지역은 고대시대에 중국과의 교류가 빈번히 있었고, 중국의 흰오랑말과 서아시아의 터키말 등 다양한 말들이 이 지역에서 섞여 생겨났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말이 중국과 서아시아로 전해졌으며, 중국에서는 이 말을 '오랑'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다른 이론에 따르면, 오랑캐란 말은 일찌감치 중국과 서아시아 지역 사이를 오가며 교류하던 다양한 종의 말들 중에서, 특히 체형이 덩치 크고 힘이 세서 전쟁에 적합한 말들을 일컫는 말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어떤 이론이 맞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오랑캐란 말은 13세기, 몽골이 세계를 정복했던 시절 몽골족이 쓰던 '우량카이(UriyanKqat)'란 말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다. 중세 몽골 유목민들이 쓰던 이 '우량카이'란 말은 삼림지대, 즉 '숲에 사는 사람들'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랑캐란 말은 13세기, 몽골이 세계를 정복했던 시절 몽골족이 쓰던 '우량카이(UriyanKqat)'란 말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중세 몽골 유목민들이 쓰던 이 '우량카이'란 말은 삼림지대, 즉 '숲에 사는 사람들'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