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착한 가마우지 257
착한 가마우지 257

벼농사가 온실가스의 주범인 메탄의 생성을 늘린다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지구 온난화는 해결해야할 인류 과제입니다. 그런데 벼농사가 오히려 온실가스의 주범인 메탄의 생성을 늘린다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벼농사는 메탄 가스의 주요 생성원 중 하나입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의 20배의 영향을 주는 강력한 온실가스로, 지구 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벼를 재배하는 논바닥에서 물을 채워두면 메탄 생성 세균의 작용으로 메탄이 배출됩니다.

      특히, 논에서 물을 간헐적으로 대는 ‘간단관개’ 농법은 메탄가스 방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의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토양이 젖었다 마르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아산화질소를 배출하는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벼농사가 메탄의 생성을 늘린다는 것은, 벼농사가 온실가스 배출에 크게 기여하며, 이로 인해 지구 온난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메탄 배출량의 약 44% 정도는 농업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벼농사를 위해 논에 물을 가둬두게 되면 산소가 부족한 물속에서 메탄 생성균이 활성되고 농작물의 성장을 위해 뿌려둔 퇴비와 만나면서 메탄가스를 발생시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