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4.04.22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가 줄어드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흔히 고산병이라고 해서 너무 높은 고지대에 가면 저산소증으로 인해 몸이 굳는 증상이 나타나잖아요. 이렇게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가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가 줄어드는 이유는 대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고도가 높아질수록 작용하는 중력이 작아지며 공기가 희박해지고 그에 따라 산소가 적어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구의 대기가 행성의 중력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고 표면에서 멀어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대기압의 감소입니다. 지구 표면에서 대기는 지구의 중력에 의해 아래로 눌려 압력을 형성합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위에 있는 대기의 층이 얇아져 압력이 감소합니다. 산소는 다른 가스들과 마찬가지로 압력에 따라 밀도가 변하는데, 압력이 낮아지면 밀도도 낮아져 같은 부피에서 덜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고도가 높을수록 기압이 낮아져 산소가 줄어드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