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23.12.25

우리나라 토종 생물종 중 해외에서 유해종으로 취급 받는 종이 있나요?

얼마전 다큐 프로에서 우리나라 토종 가물치 물고기가 스네이크피쉬로 미국 호수 생태계를 망가트린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이 처럼 국내 토종이 국외 생태계를 위협하는 경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토종 가물치 물고기가 미국 호수 생태계를 망가트리는 경우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가물치는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유해종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해외에서 유해종으로 취급 받는 토종 생물종은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미꾸라지는 미국에서는 유해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는 미꾸라지가 미국의 물고기들과 경쟁하며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기 때문입니다.

    이상으로 우리나라의 생물종을 해외로 소개할 때에는 생태계의 균형을 고려하고 신중한 조치를 취해야 함을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외래 해양 생물종:

    - 외래 해양 생물종 중 유해종으로 취급되는 예로는 바다불가사리가 있습니다. 바다불가사리는 해양 생태계에 침입하여 원래 서식지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으며,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2. 외래 식물 종:

    - 외래 식물종 중 유해종으로 취급되는 예로는 왕겨자초가 있습니다. 왕겨자초는 원래 서식지에서 생태계를 침범하여 현지 생물종들에게 경쟁을 일으키고 생태적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