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pblitz
pblitz
24.11.17

일본에서 카레라이스가 생기게 된 배경은??

카레는 인도 음식인데, 동아시아 특유의 밥 문화에다 카레를 얹는 일본 문화가 형성되서 카레라이스가 만들어 진 것 같아요. 그렇다면 왜 카레라이스가 생겨났는지 정확한 답글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11.17

    혼슈 가나가와현의 요코스카항에 정박해 있던 영국 왕립 해군 기지에서 커리를 먹었으며, 일본 제국 해군에서도 각기병 예방을 위해 커리를 도입했다.

    일본에서 메이지 유신 무렵, 영국의 해군제도를 본뜨는 과정에서, 인도를 지배하고 있는 영국의 해군 식단에 포함되었던 카레를 받아들여 일본 해군을 통해 일본 전역에 퍼지게 되었다.

    당시 영국해군에서는 비프 스튜에 오래된 재료의 군내를 없애기 위해 카레를 사용한 스튜 요리를 만드는 경우가 많았는데 일본에서 이를 받아들여 밥위와 건더기와 함께 끼얹어 먹는 요리인 카레라이스를 만들었다.

    일본 카레에 대한 원형을 니쿠자가라는 고기감자조림 음식으로 보는 설이 있다. 니쿠자가는 감자, 고기, 당근, 양파를 조린 음식인데, 여기에 카레가루를 더해 일본 카레가 탄생했다는 설이다.

    1890년대 즈음에 해군에서 요일 감각을 잃기 쉬운 해상에서 토요일 저녁마다 카레라이스가 나오는 습관이 생겼으며 이 영향으로 오늘날 해상자위대에서도 금요일 저녁에 카레라이스가 나온다. 해군에서 시작된 이 카레라이스 조리법은 요코스카식으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것은 카레라이스가 처음 등장하던 곳이 요코하마 남쪽에 있는 도시인 요코스카에서부터였다고 한다.

    이후에 전역한 수병들이 군항 요코스카와 고향에서 카레집을 차리면서 전국적으로 카레가 퍼지게 되어 일본에서 가장 인기있는 음식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일본에는 '카레의 날'이라는 기념일도 있으며, 1982년 전국학교영양사협의회에서 학교급식 개시 35주년 기념으로 1월 22일에 전국 초등학교에서 급식을 카레로 내놓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