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사려깊은코끼리37
사려깊은코끼리3723.02.14

시장실패는 무엇이고 시장이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경제 용어중에 시장실패는 어떤 의미인가요?

또한 시장이 실패하게 되면 나라의 경제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나라가 전부 망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망하는건 최악의 시나리오고 시장의 실패는 실업율 급증과 물가 급등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래서 각 정부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지 않기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 급등을 막고, 고용을 안정화 할려고 노력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시장의 가격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독과점에 따른 폐해 등ㅈ이 있죠

    경제주체들의 후생도 감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시장실패(Market Failure)란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거나, 외부성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시장의 실패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환경오염과 같은 외부성과 같은 문제는 시장 실패의 대표적인 예시로 자주 언급됩니다.

    시장 실패 상황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나라가 망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 정부나 규제 기관의 개입을 통해 해결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4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실패란 경제시장이 자유경쟁에 의해서 원활히 경제활성화가 되어야하는데 그게 되지 못한게 시장실패입니다.

    그래서 시장실패를 예방하고자 정부가 개입해서 가격조정과 공급량 조정 등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실패란 시장시스템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시장실패는 외부효과, 공공재, 정보비대칭, 시장지배력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성은 시장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경제 거래의 파급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산업 생산으로 인한 오염은 일반 인구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만 생산된 제품의 가격에는 반영되지 않는 부정적인 외부 효과입니다. 시장실패는 외부효과가 고려되지 않고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공공재란 배제가 불가능하고 소비에 있어서 비경합성이 있는 재화를 말한다. 이는 개인이 재화의 혜택을 향유하는 것에서 배제하기 어렵고 한 사람이 재화를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의 재화 이용 가능성이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실패는 시장이 공공재의 모든 혜택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공공재가 과소 생산될 때 발생합니다.

    정보 비대칭은 시장 거래에서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질 때 발생합니다. 정보가 적은 당사자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경우 시장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 시장의 비대칭 정보의 경우 환자가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의료 서비스 품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지 못하여 시장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시장지배력이란 기업이 시장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기업이 시장 지배력을 갖게 되면 경쟁 수준보다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하여 시장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에게 더 높은 가격이 책정되고 생산량이 감소하여 차선의 자원 할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시장실패는 외부효과, 공공재, 정보비대칭성, 시장지배력 등으로 인해 시장시스템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시장 실패가 발생하면 사회 후생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자원이 배분되지 않고 경제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