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일기쓰기는 어떻게 지도하는게 좋죠?
초등학교2학년 아이의 숙제가 일기쓰기입니다. 배우자가 저보고 일기쓰는걸 봐달라고 하는데 어떤점에 주의해서 봐야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일기를 쓸 때
예를 들면 오늘 기분이 안 좋았다, 그래서 오늘 하루는 재미가 없었다 라고 단순하게 적게 하긴 보다는
오늘 하루를 보내면서 어떠한 점이 좋았고, 어떠한 점이 좋지 않았는데 나의 생각은 이 부분이 옳지 않았던 것 같고, 이 부분은 조심해서 다음 번에는 실수하지 않도록 해야겠다 라는 자신의 활동 부분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면서 하루를 반성하고 하루를 보낸 소감 및 느낌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글씨를 예쁘게 잘 적는지 받침을 틀리지 않았는지도 유의해서 아이의 일기쓰기 지도를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일기를 쓰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아이들은 일기를 쓰면서 하루를 돌이켜 볼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감정을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글쓰는 능력 또한 올라간다고 생각을 합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일기장을 검사하면서 교육을 해주시는것도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아이들이 프라이버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의사 또한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의 일기쓰기는 자기 표현과 사고력을 키우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아이가 일기를 쓸 때는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글쓰기의 구조와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배우자가 일기 쓰는 것을 봐주는 역할을 맡으셨다면, 아이의 창의성을 존중하면서도 다음의 점들을 염두에 두고 지도하면 좋습니다.아이가 일기에서 상세하게 경험을 묘사하도록 유도해 주세요. 예를 들어, "오늘 뭐 했니?"라는 질문을 넘어서, "오늘 무슨 일이 있었고, 그때 내 기분은 어땠고,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구체적으로 써보게 하세요.아이의 일기쓰기는 자기 표현 능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너무 많은 수정보다는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구체적인 경험과 감정을 담을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의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며 아이가 일기 쓰기를 즐겁게 느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이의 일기 쓰기는 바로 이런 방식으로다가 지도를 하시면, 좋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사실 일기를 보호자가 검사하는 것 자체는 조심스럽습니다. 왜냐하면, 일기라는 건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는 건데 아무래도 보호자가 보게 되면 솔직하게 쓰지 못하고, 포장해서 쓰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예를 들어서 몰래 군것질을 했다거나, 물건을 잃어버렸다거나 이런 내용들을 선뜻 쓰지 못하겠죠. 그래서 일기를 검사한다면 일기 내용을 가지고 문제 삼거나 혼내는 것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게 좋아요. (단, 학교폭력 등 누가 봐도 개입이 필요한 경우는 제외)
초2 수준의 일기는 아직 어떤 일이 있었고, 그래서 내가 어떠한 감정을 느꼈는지 정도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이러한 흐름에 익숙해지면, 오늘 있었던 일이 아니더라도 나의 생각, 어떠한 주제에 대한 나의 느낌 등 다양한 주제로 일기와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확장시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일기라는것은 아이에게있어 비밀스럽고 조심스러운것일수있습니다
우선은 아이의동의를구하고읽으면서
아이의감정이나 상황에대해이야기나누시면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일기를 의무적으로 쓰지 않도록 합니다.
하루에 있었던 일들을 나열하지 않고, 본인의 감정이나 기분, 느낌을 적는 것이 좋습니다.
적을 내용이 생각나지 않으면, 시를 한편 적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일기를 볼때
아이가 너무 간략하거나 거짓에 기인하지않았는지
글에 맥락은잘맞는지 감정에대한표현은있는지
등을체크해도좋아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기를 볼때는 글의 내용이 일관되게 흐르는지, 감정 표현이 자연스러운지, 문법이나 맞춤법 오류는 없는지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