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아하초보예요 잘부탁드립니다
아하초보예요 잘부탁드립니다24.03.14

새벽에 자꾸 일어나게 되는데 왜그럴까요

제가 간혹 12시에 잠을 자면 꼭 1시30분 3시 40분 이럴때 잠에서 깨곤합니다

왜 잠을 푹 자지 못하고 계속 중간에 깨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말쑥한왈라비203입니다.

    우선 잠들기 힘들다는 거는 입면의 장애죠.


    불면증을 얘기할 때 잠들기 힘든 불면증을 입면기 불면증이라고 하고요.


    자다가 자주 깨는 경우를 수면 유지장애 라고 합니다.


    수면 유지가 안 되는 형태의 불면증이죠.


    방금 제가 말씀드렸던 잠들기 힘들고 푹 자지 못해요.


    푹 잔다, 숙면을 취한다 이런 뜻이죠.


    근데 푹 자지 못한다는 거는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


    대개 푹 자지 못한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은 수면의 연속성이 떨어져 있는


    자다가 중간에 깬다든지 또 하나로는 깨지는 않지만


    얕은 잠이 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얘기합니다.


    우리가 수면 검사를 해 보면요. 수면의 단계가 1단계 2단계 3단계


    서파수면 깊은 잠이 있고 꿈꾸는 수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잠을 좀 잤다 푹 잤다고 얘기하려면 깊은 단계인


    3단계 서파수면이라고 얘기하는 수면이 나타나야지 되고요.


    그리고 꿈꾸는 잠도 어느 정도 나타나야 됩니다.


    수면의 구조가 정상적이어야 한다고 우리가 얘기할 수 있죠.


    수면의 구조가 정상적이지 않다면 수면의 구조가 깨어져 있다면


    푹 잔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그 결과 자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자고 일어나도 멍하고 낮에 하품이 나오고


    뭔가 피로하고 집중하기 힘들고 이렇게 되는 거죠.


    그래서 잠들기 힘들고 푹 자지 못한다는 거는


    소위 말하는 불면증이 있다고 얘기할 수 있는 거고요.


    이런 경우에 어떤 치료적인 도움이 가능할까라는 건데


    여러분들이 가장 일차적으로 떠올리는 게 수면제죠.


    먹으면 잠을 잔다라는 게 수면제인데요.


    수면제를 섭취를 하면 잠을 금방 들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그렇고요. 내성이 생기면 잠드는 시간이 좀 걸립니다.


    한편 수면제를 드신다고 해서 푹 자는 것은 아닙니다.


    수면제를 복용하고 주무실 때는 얕은 잠을 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잠을 자도 회복이 안 된다는 느낌을 받게 되죠.


    수면제 외에 나는 그 수면제가 의존성도 생기고


    내성도 생기고 또 기억력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수면제 외에 다른 방법이 없을까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선택하는 것 중에 하나가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약은 아니지만 복용할 때 잠에 도움이 되는 물질들인데요.


    어느 정도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심한 불면증 환자분들이 그걸로 도움을 받기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불면증에 대한 비약물적인


    치료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라는 것이 있습니다.


    스스로 잠자는 리듬을 좋게 만들고 긴장을 떨어뜨려서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만들어 가는 것이죠.


    이런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의 원칙을 배우고 생활의 한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금방 잠들고 푹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