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늘씬한라마카크297
늘씬한라마카크297

아동 성조숙증 검사시 여러번 뽑는이유?

나이
3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동 성조숙증 검사를 하는데 5번이나 채혈을 하던데

이유가 뭔가요?

그리고 병원마다 시간간격이 다르더라구요

왜 그렇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 아마 성호르몬 자극 검사를 말씀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자극 검사는 검사 자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받는 곳마다 뽑는 간격이나 횟수 차이가 있지만 횟수나 간격차이가 있다고 해서 검사가 차이가 있거나 문제가 있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채혈을 많이 할 수록 정확도는 올라가지만 본인의 불편감이 심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이 의심되는 경우 진성과 가성 성조숙증의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진성 성조숙증 환아에서는 정 상적인 사춘기와 마찬가지로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의 활성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진성 성조숙증의 진단에 GnRH 자극 검사는 필수적이다8, 9). GnRH 자극검사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 한 것으로 LHRH (100 μg)를 정주하고 기저치와 90-120분까지 15-30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LH와 FSH 를 측정한다. GnRH 자극 후 LH의 최대치가 5 IU/L 이상이면 진성 성조숙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10). 또한 LH 반응이 FSH에 비해 더 우세하면 사춘기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LH-releasing hormone (LHRH)를 투여한 후 혈중 LH, FSH 농도를 측정하는 GnRH 검사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 성숙의 평가와 사 춘기 질환의 진단에 널리 쓰이고 있다3) . 일반적으로 LH과 FSH 의 최고 반응은 GnRH를 주입한 후 5-8회의 채혈을 통해 얻어 지고 있다. 반복 채혈의 횟수가 많을수록 검사의 신뢰도는 높아 지지만, 긴 검사 시간과 반복 채혈에 따른 환아들의 불편감이 증 가한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활성화는 성선자극 호르몬분비 호르몬을 투여한 후 15~30분 간격으로 2시간 동안 혈액에서 황체화 호르몬(LH), 난포자극 호르몬(FSH) 농도를 측정합니다. 황체화 호르몬의 최고 농도가 5IU/L 이상이면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일부 여아에서는 계속 5IU/L 미만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는 반복적으로 3~6개월 간격으로 재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골 성숙은 좌측 손을 X-ray 촬영하여 측정하는데, 자기 실제 연령에 비하여 사춘기가 많이 진행되었을수록,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증가되어 있으며, 증가 속도도 빠르다. 그러나 초기에는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