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조신한콜리117
조신한콜리11724.01.27

엑스레이는 어떤원리로 뼈를 찍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제가 엑스레이의 원리가 궁금한데 어떻게 뼈만 딱 찍을 수 있는건가요? 너무 당연시 되서 생각할 생각도 못해봤습니다! 어떤원리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투과력: 엑스레이는 고에너지 전자기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전자기파는 물질을 투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뼈는 다른 조직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엑스레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잘 투과되지 않습니다.

    2. 투과도: 엑스레이는 물질에 닿으면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투과됩니다. 뼈는 투과도가 낮아 엑스레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흡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뼈는 엑스레이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에 어둡게 나타납니다.

    3. 영상화: 엑스레이를 투과한 후, 투과된 엑스레이는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영상화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영상에서 뼈는 밝은 영역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엑스레이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내부 구조를 보는 기술입니다. 이 전자기파는 뼈와 같은 밀도가 높은 물질을 통과할 때는 적게 흡수되고 부드러운 조직이나 공기와 같은 밀도가 낮은 물질을 통과할 때는 많이 흡수됩니다. 이렇게 흡수된 전자기파는 디텍터라는 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이를 컴퓨터가 이미지로 변환하여 보여줍니다. 따라서 뼈와 같은 밀도가 높은 물질은 어두운 색으로 나타나고 부드러운 조직이나 공기는 밝은 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뼈만 딱 찍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엑스레이는 뼈의 손상이나 골절 등을 진단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X선은 금속이나 뼈 같은 물질을 제외하고 투과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인체에 X선을 방사하여 반대편에서 X선을 기록하면 뼈나 암조직부와 같이 X선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조직은 하얗게 나오고 투과율 정도에 따라 검게 기록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엑스레이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파장이 자외선보다 짧고 감마선보다

    긴 전자기파입니다.

    엑스레이가 물체를 통과할 때는

    물체의 밀도에 따라 흡수되는

    양이 다릅니다.

    밀도가 높은 물체는 엑스레이를

    많이 흡수하고 밀도가 낮은 물체는

    엑스레이를 적게 흡수합니다.

    엑스레이 촬영은 환자의 몸에

    엑스레이를 쏘고 엑스레이가 통과한

    후의 변화를 감지하여 영상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뼈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엑스레이를 많이

    흡수하여 검게 나타나고 피부 근육 장기

    등은 밀도가 낮기 때문에 엑스레이를 적게

    흡수하여 밝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엑스레이 검사를 하면 뼈는

    검게 피부 근육 장기

    등은 밝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엑스레이의 흡수율에

    따른 차이를 이용한 것입니다.

    엑스레이 검사는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검사 방법으로 뼈의 골절 종양

    염증 등의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공항이나 우체국 등에서

    물품 검사에도 사용됩니다.

    엑스레이 검사는 방사선이

    사용되기 때문에 피폭량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방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임산부나 어린이의 경우는

    피폭량을 더욱 줄여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