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천류영
천류영22.08.22

왜 비가 오는 날에는 확산현상이 더 심해지죠?

보통 비가오는날에 유난히 음식냄새가 심하고 잘 퍼지는거 같더라구요.

과학적 원리가 어찌 되는건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로 인해 비가 오는 날은 확산 속도가 느려집니다.

    그래서 냄새 분자가 한 공간에 오래 머물게 되면서 냄새가 더 진하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가 오는 날에 유난히 냄새가 심한 것입니다.

    사실 확산은 마른 날에 더 잘 일어납니다. 하지만 확산이 빨라 냄새 분자가 빠르게 날아가 버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는 날에는 습기로 인해서 확산정도가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냄새 분자가 우리 코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증가하여,
    향이 더 진하게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 비가 많이 오는 날은 공기 중의 습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음식 냄새가 습한 실내 공기와 만나면 순환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 냄새가 오래 남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습도가 높다는 것은 공기 중의 수분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것 입니다.

    또한 빗방울이 바닥에 부딪힌 후 에어로졸의 형태로 공기 중에 존재하게 됩니다.

    이러한 수분들이 냄새의 확산에 대한 도체 역할을 수행함으로 냄새가 잘 퍼지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습도가 높으면 확산이 느리게 일어납니다. 하지만, 확산이 느린탓에 냄새가 더 진하게 우리의 코로 전달되어오죠. 그래서 음식 냄새가 더 진하게 느껴지는것입니다. 그리고 진하게 와닿기 때문에 더 빠르게 와닿는다고 착각을 할 수 있는데 사실은 더 느리기 때문에 농도가 짙어지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