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고대 전쟁에서 독은 사용되지 않았나요?

독은 신체에 미미한 영향부터 사망에 이르게까지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암살에 사용되는 것은 흔하게 알고 있는데, 고대 전쟁을 묘사하는 장면에서는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고대 전쟁에서 독을 사용하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현대 매체로 묘사할 때 뺀 것인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고대에 독은 한명이나 여러명을 암살할때는 효과적이나 전쟁처럼 넓은 범위의 다수에게 쓰기에는 효율성이 부족합니다. 한마디로 가성비가 좋지 않지요. 게다가 바람등이 불거나해서 오히려 아군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구요. 1차 세계대전까지만해도 이러한 이유로 독이나 화학무기는 범용성이 부족했습니다. 현재는 충분히 개선되어 무기로 쓸 수 있다하나 국제협약등에 의해서 이런 화학무기 사용은 전쟁에서도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 독약을 발명한 인간들은 거의 대부분 사람을 죽이는데 독약을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무수히 많은 목적으로 사람을 죽이는데 사용했어요. <수호전>에는 반금련은 정부 서문경의 약방에서 비상을 가져다가 남편 무대량을 죽였어요.

    그리고 전쟁에서도 독약을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적들의 식수원이나 우물에 독약을 넣는다거나 간첩을 파견하여 독약으로 암살을 시도하거나 무기에 독약을 묻혀 살상력을 증가시켰습니다. <동관한기>에는 독화살이 전투에 사용한 기록이 나옵니다. 한나라 명제 당시 흉노족에 포외된 한나라의 경공이 화살 끝에 독을 묻혀 공격하여 흉노족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주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