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23.01.09

새마을 운동은 어떤 것이었나요?

빈곤국이었던 한국이 새마을 운동을 하면서 경제발전을 했다고 알고 있는데요.

새마을 운동이 어떤 것을 하는 것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1.10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업중심의 경제개발로 농업의 중요도가 낮아져 도시와 농촌간 소득격차가 많이 벌어지자 농촌문제가 사회문제가 되었고, 집권당의 전통적 정치기반을 흔들 수 있는 정치적 불안요소가 되었는데, 이에 추진한것이 농촌의 새마을 운동입니다.

    1969년 3선 개헌, 19971년 대통령선거와 비상사태선포, 1972년 유신헌법통과와 같은 권위주의 정권의 형성과정에 진행되었습니다.

    1970년 4월 박정희 대통령이 지방장관회의에서 새마을가꾸기를 언급하며 국가정책 차원의 사업으로 시작되었으며 1970~71년 정부는 전국 33,267개 마을에 시멘트 336포를 무상지원, 마을길 확장, 공동빨래터, 우물 설치 등 마을 공동사업을 실시합니다.

    1971년 새마을정신을 근면 ,자조, 협동으로 정하고 1972년 새마을가꾸기 사업이라는 하나의 사업에서 전국민적 운동으로 확장하여 새마을 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합니다.

    1972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를 설립하고 1973년 이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과 민을 연결하는 조직을 구성하였고, 1972년 마을별로 새마을지도사를 위촉하여 교육하고 농촌에서 성과가 나타나자 1974년 공장새마을운동, 1976년 지역, 학교,직장에 거점을 준 도시새마을운동을 전개하며 사회 전체의 운동으로 확대시킵니다.

    1970년 새마을운동의 주요 과제는 생활환경개선, 소득증대, 의식개혁이었습니다.

    1980년대 제5공화국 출범과 함께 새마을운동중앙본부를 중심으로 한 민간주도운동으로 전환되었지만, 정권의 국민통제와 권력유지를 돕는 관변운동으로 정치화되며 비판을 받고, 새마을 운동의 동력과 지도자, 회원들의 활동이 감소, 위축되고 정부 지원이 축소, 폐지되었습니다.

    1988년 5공청문회에서 새마을운동중앙본부의 비리가 드러나 더 침체되었으며 1990년 순수 민간단체운동으로 전환되고 1989년 새마을운동중앙본부의 명칭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로 변경 후 부정적 이미지를 없애기 위해 조직을 정비, 사회공익활동을 강화하였습니다.

    2000년 후 더불어 사는 공동체 건설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내세우며 제2의 새마을운동추진, 국제사회로부터 지역사회개발 운동의 성공사례로 주목받으며, 새마을 운동중앙회로 이름을 변경, 국제연합의 비정부기구로 가입하였습니다.

    2019년 이후 생명살림, 평화나눔, 공경문화,지구촌공동체 운동으로 새마을 운동의 과제를 전환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9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워낙 빈곤하던 나라였기 때문에

    개인이 뭔가를 해서 성공을 할 수가 없어

    말끼리 똘똘 뭉쳐서 일을 하고

    환경도 부역이라는 것을 통해서

    개선을 하고 소득도 만들어 마을을 조금 더 이익이 가게끔

    했던 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새마을 운동(영어 표기: Saemaul Undong 또는 New Village Movement) 혹은 신향촌운동(新鄕村運動)은 1970년 초 대한민국 농촌의 현대화를 위해 시작되어 박정희 정부 주도로 시행된 운동앱니다.새마을 운동은 풀뿌리 지역사회개발운동으로 정의되기도 합나다. 농경지 수리시설확충·농경지확장 등을 통한 식량자급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소득증대사업으로서는 영농의 과학화, 농가부업의 육성, 농산물가격보장, 새마을공장·새마을금고 육성, 농수산물 유통구조개선, 생산품 품질개선과 생산성 향상, 근로자 후생복지제도 등에도 성과를 올렸지요.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토양 개량, 경지 정리, 다목적 댐 건설을 비롯한 수리 시설의 확충, 영농의 기계화, 다수확 미곡 종자의 개발, 온상 개발. 보급, 농산물 가격지지정책, 특히 이중 곡가제, 단지별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