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5.30

인공위성과 ICBM의 차이가 뭔가요?

최근에 우리나라가 자체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고 북한도 앞으로 ICBM발사를 한다고 하던데 인공위성과 ICBM의 차이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ICBM은 최소 시속 8000km, 인공위성 발사용 로켓은 시속 29,000km의 속도를 갖는다. 그러나, ICBM이 반드시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소련의 ICBM의 상당수가 액체연료를 사용하였다

    출처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은 지구나 다른 천체를 회전하면서 지구나 우주에서 다양한 기상 정보, 지리 정보, 통신 등을 수집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인공위성은 지상에서 발사하거나 로켓을 이용해 우주로 발사됩니다.

    ICBM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미사일로, 대륙 간 공격을 위해 개발된 미사일입니다. ICBM은 대륙 간 이동 수단으로 사용되며, 대량 파괴 무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ICBM은 지상에서 발사되며, 로켓 엔진과 탄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차이점은 인공위성은 지구주위를 돌다가 수명이 다한 뒤 대기권으로 떨어지면 타버리지만 탄도미사일의 탄두는 열을 견뎌야합니다. 탄두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은 극소수 나라만이 갖고 있기때문입니다.




    결국 발사체에 위성을 실었는지, 아니면 탄두를 실었는지에 따라 발사체도 로켓이냐, 미사일이냐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로켓의 개발사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같은) 군사용 전략 로켓과 매우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선 현대 로켓의 아버지인 베르너 폰 브라운의 V2 탄도 미사일은 나치 독일, 독일군의 영국 공격용 전략 로켓 개발계획이었고 전후 양대 항공우주 개발국인 미국과 소련의 모든 로켓 프로젝트(겸 ICBM 개발 프로젝트)도 모두 이 V2 탄도 미사일로부터 유래했다. 두 나라 모두 V2를 카피하는 것에서부터 로켓 개발을 시작했다. 미국은 자진투항한 폰 베르너와 핵심 기술진을 데려갔고 소련은 V-2 탄도 미사일 공장을 점령해서 생산 중이던 약 100여 기 분량의 V2 탄도 미사일 부품을 가져갔다.


    그래서 초창기 미국과 소련의 우주로켓은 원래 ICBM들이었다. 예컨대 소련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R-7(SS-6 샙우드)는 보스토크 등 소련의 모든 유인 우주발사체의 모체였으며 현재 R-7의 개량형은 소유즈발사체로도 잘 쓰이고 있다. 또한 미국 최초의 유인우주선인 머큐리 프로젝트에는 아틀라스 ICBM이 쓰였고[17] 후속 프로젝트 제미니에는 타이탄 중 ICBM이 쓰였다.[18] 하지만 현대의 아틀라스V 로켓은 러시아제 엔진을 쓰고있다


    심지어 본래 ICBM 용도로만 개발되었던 발사체들조차 냉전 종료 후 퇴역한 뒤에는 우주로켓으로 쓰이기도 했다. 예컨대 R-36(SS-18 사탄) 같은 미사일들은 러시아가 소형 위성 발사 대행 분야를 저가로 싹쓸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R-36 미사일은 우주발사체로서는 '드녜프르'(Dnepr)라고 하며 한국항공대학교에서 제작한 초소형 위성 한누리를 싣고 발사되다가 폭발하기도 했다. 그 외에도 한국의 아리랑 5호와 과학기술위성 3호도 이 미사일로 쏘아올렸다.


    미국에서도 오비탈 사이언스 社에서 퇴역한 LGM-118 피스키퍼 미사일을 우주발사체나 기상관측로켓으로 바꾸는 OSP-2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사실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중소형[19] 우주 발사체의 요구되는 성능은 거의 차이점이 없다.[20] ICBM은 인공위성과는 달리 발사되면 우주로 나가있다가 적국 상공에 도달하면 '다시 지구로 떨어진다'는 게 다를 뿐이다. 심지어 소련에서는 FOBS(Fractional Orbital Bombardment System)라는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처럼 ICBM을 올려서 사거리 무제한으로 남극을 돌아 공격할 수 있는 ICBM을 개발하려고도 했다.


    '전문 ICBM'과 '전문 우주발사체'의 차이를 굳이 따진다면, '우주발사체'는 효율이 높은 액체산소/액체수소 같은 저온연료를 쓰는 데 제약이 없는 반면, 저온 연료는 발사직전에 주입해야 하므로 공격기도가 노출되고 즉응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전문 ICBM'에서는 선호되지 않는 것 정도. 이런 이유로 ICBM에서는 질산, 사산화이질소, 히드라진[21], 불산[22] 같은 상온에서 액체상태이고 저장가능한 산화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아예 고체 추진제를 쓰든가.


    이 특징 때문에 한국은 우주 발사체 연구가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정체되다시피했다.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에 민간로켓도 같이 묶이면서 개발이 불가능해진 것이다. 2001년 지침 개정으로 민간용 액체 로켓에 한해서만 제한이 풀려서 2002년부터 개발을 시작했고, 그 결과물이 나로호다. 이 지침은 2021년에 아예 폐기되어서 한국도 마음만 먹으면 고체 연료 로켓을 개발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과 ICBM(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의 차이점은 사용 목적과 운용 방식입니다.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지상에서 관측, 통신, 탐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인공위성은 로켓 등을 이용하여 발사되며, 발사 후 운영체제를 통해 운용됩니다.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에 의해 공전하며, 정지궤도나 극궤도 등 다양한 궤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ICBM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미사일로, 원거리 타격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ICBM은 대륙 간 타격 미사일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지어졌으며, 대기권 상층까지 상승한 후, 대기권 밖에서 나선 비행으로 목표지점까지 날아가 타격합니다. ICBM은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파괴력과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지상에서 관측, 통신, 탐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ICBM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원거리 타격 미사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 발사체는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지구 궤도에 배치하는 기술적인 목적을 가지며, 주로 민간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 의해 운영됩니다. 주된 목적은 지구 궤도에 인공위성을 정확하게 배치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ICBM은 대륙간 핵탄도미사일로서 군사적인 목적을 가지며, 국가 간의 전략적인 핵전쟁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무기 시스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공위성과 ICBM은 다른 개념입니다.

    ICBM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말하며 핵탄두를 장착하고 한 대륙에서 다른 대륙까지 공격이 가능한 탄도미사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