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량과 밀도 그리고 비중의 차이를 잘 몰겠어요
부피 즉 덩어리의 크기 대비로 가장 무게가 많이 나가는걸 찾고싶은데, 질량, 비중, 밀도 이런걸 차이를 정확히 모르겠어요
그리고 어떤게 가장 저렴하면서 부피 대비 키로수 가장 많이 나가는 걸까요? 시중에 쉽게 구할수 있는걸로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물체의 양을 측정한 것입니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것입니다 비중은 어떤 물질의 밀도와 기준 물의 밀도와의 비로 물질이 기준 물에 비해 얼마나 무거운지를 나타낸것으로 일반적으로 물의 비중을 1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부피 대비로 가장 많은 무게를 가지는 물질을 찾으려면 높은 밀도를 가진 물질을 찾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부피를 가진 두 물체가 있다면, 밀도가 더 높은 물체는 질량이 더 큽니다. 따라서, 고체나 액체 중에서 밀도가 높은 물질이 더 무거운 무게를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저렴하면서 부피 대비로 무게가 가장 많이 나가는 물질은 정확한 답이 없습니다. 이는 물질의 종류와 가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예시를 들면, 건축 재료 중에서 철과 철합금은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부피 대비로 무게가 많이 나갑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도 : 단위 부피당 질량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가장 흔히 사용하는 액체의 밀도 단위는 g/mL, 기체의 경우 g/L를 씁니다. 영어로 density를 사용합니다.
비중 :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물질에 비한 질량으로 액체의 경우 물의 1mL에 대한 질량이 거의 1이므로 이에 비한 질량이므로 밀도와 같은 값이므로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고체는 기준 물질은 없이 1cm3의 부피에서 질량 비교입니다. 비중은 specific gravity를 씁니다.
질량: 물질 고유의 양 ,물의 부피가 가장 적은 섭씨4도에서의 1㎤의 질량을 1g 으로 함.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질량: 물체가 가지고 있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kg 등의 단위로 표시됩니다. 질량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물질의 양으로, 크기와 형태에 관계없이 일정합니다. 즉, 물체가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도 물체의 질량은 변하지 않습니다.
- 밀도: 물체가 단위 부피당 가지고 있는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kg/m³ 등의 단위로 표시됩니다. 즉, 물체의 단위 부피당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물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같은 부피에 더 많은 물질이 들어가 있습니다.
- 비중: 물체가 밀도를 나타내는 값 중에서, 다른 물체나 물과의 밀도 차이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를 1로 두고 비교합니다. 즉, 비중이 1보다 작으면 물보다 가벼운 것이고, 1보다 크면 물보다 무거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어떠한 물체가 가지는 고유한 양이다. 또, 부피는 어떠한 물체가 가지는 공간이다. 밀도란, 단위 부피당의 질량을 나타내는 말이다. 예를 들어, 1세제곱 센티미터의 부피에 1kg인 물체가 있다면, 이 물체의 밀도는 '1kg/세제곱 센티미터'인 것이다
비중은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같은 체적의 표준 물질의질량과의 비를 의미합니다. 고체상태의경우는 표준물질로서 4℃의 물을 사용하고 기체의 경우는 표준상태(0℃, 1기압)의 공기, 산소 또는 수소를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량은 말 그대로 무게입니다.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질량 이죠.
밀도는 부피 대비 질량입니다.
가령 1L 짜리 물은 1kg 이죠. 1L 만큼의 공기는 훨씬 가볍습니다.
밀도는 물 > 공기 가 됩니다.
비중은 물의 밀도를 1이라고 했을 때, 다른 물체의 밀도를 수치화 한 것입니다.
비중이 3인 물체는 물보다 3배 더 조밀한 물체로 1L 에 3kg 이 되겠지요.
저렴하며 밀도가 높은 물질은 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설명]
[1] 밀도 : 단위 부피당 질량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가장 흔히 사용하는 액체의 밀도 단위는 g/mL, 기체의 경우 g/L
를 씁니다. 영어로 density를 사용하므로 d = 1.00 g/L에서 d = 밀도
[2] 비중 :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물질에 비한 질량으로 액체의 경우 물의 1mL에 대한 질량이 거의 1이므로 이에
비한 질량이므로 밀도와 같은 값이므로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고체는 기준 물질은 없이 1cm3의 부피에서
질량 비교입니다. 비중은 specific gravity를 씁니다.
[3] 개념은 전혀 다른데 밀도나 비중을 같이 쓰는 것은 밀도 값과 비중 값이 같기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물질 자체가 보유하는 양을 말합니다.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말하며 단위로는 g/cm^3가 사용됩니다.
그리고 비중은 표준물질과 다른 물질의 밀도와의 비를 말합니다.
부피 대비 키로수 가장 많이 나가는 것이라면 밀도가 높은 물질을 말씀하시는 것인데, 그럼 오스뮴이나 이리듐이라는 물질이 있는데요..
하지만, 쉽게 구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 이건 범위가 너무 넓은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물체 내부에 있는 물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질량은 크기와 상관없이 물체의 내부 구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질량은 킬로그램(Kg)으로 측정되며, 물체의 관성과 중력과 같은 힘의 효과에 영향을 줍니다.
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다른 물체 또는 물의 밀도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값입니다. 비중은 물체의 무게를 해당 부피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비교 대상인 물의 밀도를 1로 정하고 비교합니다. 비중은 단위가 없는 상대적인 값으로 표시됩니다.
밀도는 물체의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밀도는 물체의 질량과 부피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부피에 대해 말하신다면 동일한 크기의 쇠구슬과 탁구공의 차이를 보면 쇠구슬이 탁구공과 같은 부피이면 탁구공의 수백배는 무거울 것입니다.
이는 재질과 밀도의 차이로도 알수 있습니다.
같은 부피지만 탁구공은 비어 있고 쇠구슬은 꽉차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