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 안에 콘덴서가 가끔 터지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콘덴서가 뭐하는 것이고 왜 터지는지 궁금합니다.
전자제품 안에 콘덴서가 가끔 터지기도 한다고 하는데요. 콘덴서가 뭐하는 것이고 이게 어떨때 어떤 이유로왜 터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전기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전자 부품으로 전압 안정화와 노이즈 필터링 등 주로 평활효과를 위해 장착됩니다.
콘덴서가 터지는 이유는 콘덴서가 허용하는 전압 이상의 전압이 들어오는 경우 콘덴서가 터질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물리적 요인으로 터지기도 합니다.
또한 고온 상황이나 노화된 경우에도 터지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콘덴서 역할을 전기를 임시로 저장했다가 방출하여 회로가 갑자기 꺼지거나 전압이 불안정할 때 작동하여 돕는 역할을 합니다. 콘덴서가 폭발하거나 고장나는 이유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인가될 허용 정격 전압을 초과하면서 내부 절연층이 파괴되거나 전해액이 기화되며 압력이 올라 내부가 팽창하게 되며 터질 수 있습니다.
이는 주위 온도가 너무 높거나 통풍이 잘되지 않는 곳에서 자주 발생하며 콘덴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 되어 자연히 성능히 저하되고 고장이 나기도 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방출하는 소자로 회로에 전압이 불규칙적일때 전기를 저장하거나 장출해서 그 전압을 규칙적으로 해서 회로에 문제가 안되게 하는 소자입니다. 그런데 이 소자에 정격 전압이 있는데 그것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그 안에 문제가 되면서 전해질이 기화되어 내부 압력증가하여 터지게 됩니다. 좀 자세히 설명하면 내부에는 양극과 음극 전해질 그리고 산화막으로 되어 있습니다. 잔입에 따라서 전해질을 통해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저장되고 방출되고 합니다. 이때 산화막은 절연체 역할을 해서 필요 이상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해주는데 그 절연체가 절연할수 없는 전압이 인가 되면 그떄 필요 이상의 전자가 이동되면서 너무 많은 전류가 흐르면서 화학 반응에 의해서 열이 발생되고 그 열이 전해질을 기화하면서 내부 압력이 커지게 되면서 결국 터지게 되는 원리 입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는 부품으로 전자제품에 아주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극성 반대로 연결하거나 정격 전압을 초과하면 터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내부 구성 요소가 과전압이나 열, 노화 등으로 손상되면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터질 수 있습니다.
정격 전압을 초과하거나 주변 환경이 열악할 때 더 위험해진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콘덴서는 전기를 잠시 저장했다가 필요한 순간에 방출해 전압을 안전시키거나 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과전압 과열 극성 반대 연결 수명 노화 등으로 내부 전해질이 팽창하거나 절연이 파괴되면 압려기 높아져 터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저가형 부품이나 열이 많은 환경에서는 내부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해 폭발 위험이 커집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콘덴서의 주 역할은 전기를 임시 저장하는 역할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전하를 저장하고 있다가 일시적인 전압의 변화를 막을 수 있으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해 줍니다. 또 고조파 노이즈를 억제시켜 안정된 신호의 통신이 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콘덴서가 터지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먼져 과전압의 경우 콘덴서 내부 절연이 파괴되어 누설전류로 과열이 발생하여 터질 수 있습니다. 또, 주변온도의 상승으로 내부 압력이 높아져서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