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비둘기
비둘기23.07.11

식충식물들이 일반식물처럼 땅에서 영양분을 흡수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일반식물들은 자신의 뿌리를 통하여 생존에 필요한 양분을 땅을통해 흡수를 합니다.

그런데 식충식물들은 이런과정이 불가하여 곤충을 잡아먹으며 산다던데요

어쨌든 같은 식물이고 뿌리가 있는데 식충식물들이 땅을 통해서 양분을 흡수못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 식물들은 말씀하신대로 다른 식물이나 곤충 등을 잡아먹음으로써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우선 일반 식물과 다른 구조가 가장 큰 이유이며, 이러한 형상이 된 이유는 주변 환경에 맞게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 식물들은 일반 식물들과 구조가 다릅니다. 이에 흙을 통한 양분이나 광합성을 통해서 살아갈 수 없어서 곤충을 섭취 함으로써 생존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식물은 일반 식물과 다르게 벌레를 잡아 먹음으로써 영양분을 충족합니다. 그 이유는 사는 환경떄문에 진화를 하게 되었다고하는데요. 식충식물은 습지에 사는데 습지의 경우 식물이 필요한 질소와 인 같은 영양분이 부족해서 벌레를 먹으면서 부족한 영양분을 흡수하게 진화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식물은 탄소영양에 대해서는 독립영양을 영위한다. 곤충 등으로부터 얻는 양분은, 식충식물이 많이 생육하는 수중, 늪지대와 물이끼 위 등의 환경에서 부족한 질소 · 인산 · 칼륨 등이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식물은 일반적인 식물과 달리 땅에서 영양분을 흡수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식충식물이 자라는 토양이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식충식물은 주로 습지대나 산악지대에서 자라는데 이 지역의 토양은 물이 많고 산성도가 높아서 영양분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식충식물은 이러한 영양분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곤충을 잡아먹는 방법을 진화했습니다


  • 식충식물은 종종 고립된 생활 방식을 취합니다. 즉, 자신들이 기생하거나 공생하는 호스트 생물체에 의존합니다. 이들은 호스트 생물체의 체액에 접근하여 호스트의 영양분을 이용합니다.

    식충식물은 호스트 생물체로부터 공급되는 유기물질을 이용하여 생존합니다. 이들은 호스트 생물체에 대한 소화능력을 저하시키거나 완전히 상실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식충식물은 자체적으로 땅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제한되거나 없을 수 있습니다.

    일부 식충식물은 호스트 생물체로부터 얻는 영양분 외에도 호스트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특정 미생물 군집과 공생하여 영양분을 확보합니다. 예를 들어, 호스트의 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대체 영양분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식충식물은 호스트의 특정 조직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호스트의 특정 부위에 접착되거나 침투하여 영양분을 획득하는데 적합한 구조와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식충식물이 땅에서 영양분을 직접적으로 흡수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식물들이 땅을 통해 양분을 흡수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이 특정한 적응 형태로 진화하여 다른 생태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생리학을 변경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양분 흡수를 위해 뿌리를 사용하는 대신 다른 전략을 개발하였습니다.

    식충식물은 일반적으로 곤충, 작은 동물 또는 다른 식물을 포획하여 이를 소화하고 양분을 얻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식물은 곤충 포획을 위한 다양한 구조와 장기를 발달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식충식물인 유인성식물(Venus flytrap)은 함정 잎을 가지고 있으며, 곤충이 잎에 닿으면 잎이 갑작스럽게 닫히고 소화를 위한 소화액을 분비합니다.

    식충식물들이 땅에서 양분을 직접 흡수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생태계 내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양분을 흡수하는 것보다 곤충을 포획하는 전략이 이들에게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이 생활하는 환경에서는 양분이 부족한 경우나 경쟁 상황에서 양분을 포획하는 전략이 더 유리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충식물들은 땅을 통해 양분을 흡수하지 않는 이유는 자신의 생리학적 특성과 생태학적 적응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세상에 알려진 식충식물은 약 630여종이라고 하는데..모든 식충식물이 곤충이나 벌레를 잡아 먹으면서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은

    아니구요...식충식물들 중에는 일반 식물들처럼 광합성, 뿌리흡수,잎 흡수등과 병행을 하며 식충 활동을 한다는 것입니다.

    대표적인게 파리지옥이라는 식충식물이 있는데..땅이 척박하고 수분기가 없는 곳에서 살다보니 자연스레 진화적으로 주위의

    곤충이나 작은 벌레들을 포식하는 식으로 진화되었다고 합니다.

    그외..개미를 잡아 먹는 사라세이나는 한시간에 몇천마리의 흰개미를 잡아 먹는답니다.

    이런 식충식물들이 이렇게 육식? 을 하면 미네랄을 보충하여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네요 ㅎ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식충식물들은 토양의 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 생존 전략을 발전시켰습니다. 대부분의 식충식물들은 곤충을 먹는 방식으로 양분을 보충합니다. 이들은 뿌리를 통해 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지만, 곤충의 육체를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식물의 뿌리는 물을 빨아들일 때 물에 녹아 있는 이온 형태의 무기양분을 함께 흡수하기 때문에 수용성으로 이온화하지 않은 무기양분은 토양 중에 아무리 많아도 식물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식충식물은 주로 습지같이 양분이 부족하고 물과 햇볕이 많은 제한된 서식환경에 살고 있어 드물게 분포하는 듯 보이지만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곤충을 잡아먹으며 살아남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