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4.02.18

염전은 언제부터 생겨 났는지 궁금합니다.

염전은 언제부터 생겨 났는지 궁금합니다. 어디서 시작되었고 어떻게 이런 기술을 발전시킬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그 유례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염전이 시작은 아주 오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염전 개발은 부족 국가 시대인 옥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그 이후 고려,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변화와 발전을 이어 왔다고 합니다. 바다에 면하지 않은 충청북도를 제외하고는 예로부터 해안가 도처에서 소금이 제조되어 왔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천일제염은 1907년 당시 경기도 부천군 주안에서 시도되었습니다. 근대 산업으로 제염업이 발달된 것은 해방 이후 1950년대부터라고 합니다.

    출처: 디지털당진문화대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최초의 근대식 염전은 1907년에 대한제국 정부에 의하여 처음 건설된 주안염전으로, 이후 1908년부터 1911년끼지 26만평, 1917년부터 이듬해까지 37만 평 규모로 확장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최초의 근대식 염전은 1907년에 대한제국 정부에 의하여 처음 건설된 주안염전으로, 이후 1908년부터 1911년까지 26만 평, 1917년부터 이듬해까지 37만 평 규모로 확장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인천 일대에는 남동염전, 군자염전, 소래염전 등이 생겨 나기 시작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 그대로 소금이 나오는 밭입니다. 갯벌에 칸막이를 만들고 바닷물을 들이고 농축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거쳐서 소금을 채취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소금광산이 거의 없어서 암염이 나지 않으며 옛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도 고구려가 소금을 해안지에서 운반해 왔다는 기록을 볼 때 고대부터 이미 해안가에 염전을 통해 소금을 얻은 것으로 추정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