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30

한글 창제 이전의 우리말 표기는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한글 창제 이전에 우리나라는 한자를 사용하였는데요. 한자는 뜻 글자이기 때문에 우리말 표기를 하기는 어려움이 있었을 텐데, 한글 창제 이전의 우리말 표기는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훈민 정음 창제 이전에 우리말 표기는 원어인 한자로 하기에 어려움이 있기에 이두 라고 하는 신라시대에 만든 한자의 우리말 표기를 위한 차용 글자를 썼습니다. 하지만 이두 조차도 일반 백성들은 그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로 이루어졌습니다

    하마 학교에서 이두나 향찰이란 이름을 들어보셨을 탠데요

    그런식으로 일부 한자를 표음기호처럼 쓰거나

    같은 뜻의 한글단어로 대신 읽거나 했습니다

    당연히 엄청 어려운데 표현력은 떨어졌기 때문에

    배우기도 쉽지 않았고 많이 쓰이지도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글의 발명이 중요한 것입니다.

    한자가 전해지기 이전에 어떻게 했는지는 기록이 전혀 없어서

    그런게 있는지 없는지조차 아무도 모릅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에 우리말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한문으로 적는 방법과 한자의 음이나 의미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는 방법(한자 차용표기법, 차자 표기법)이 있었습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이두'가 있습니다. 이두는 신라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문법적 요소를 표기합니다. 어순에 따라 한자를 배열하고 문맥을 분명히 하여 재배열하여 표기합니다. 그리고 '구결'이 있어요. 이두와 달리 한자를 원문 그대로 쓰며, 문법적인 요소를 삽입합니다. 실질 형태소는 훈차로 형식 형태소는 음차로 표기합니다. 마지막으로 '향찰'이 있어요.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방식으로, 실질 형태소와 실질 형태소를 모두 포함합니다. 한문 원문을 그대로 쓰며, 문장 전체를 한자로 표기합니다. 훈차와 음차를 혼용하여 문법적인 요소를 표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