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밝은펭귄185
밝은펭귄18523.02.25

비싼 외제차는 중고로 팔때 가격이 훅 떨궈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얼마타지도 않는 비싼 외제차를 중고로 다시 판다고 하면 처음 구매했을 때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를 하게되는데 이러는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입니다.

    신차는 구입과 동시에 감가상각이 됩니다.

    특히 수입차의 경우에는 보험료, 유지비, 수리비가 비싸서

    감가율이 국산차에 비해서 훨씬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깨끗한오솔개230입니다.

    외제차의 경우 고잫말생시 수리비가 많이 들곤합니다

    그런 이유로 외제차는 보증기간이 끝나면 차량가격이 많이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중고차는 새차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중고차는 새차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비싼 외제차도 중고로 팔때 가격이 훅 떨궈지는 것입니다. 또한, 중고차는 새차보다 사용한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소모품이나 부품 등의 교체 비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더 낮게 책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중고차의 장점은 신차대비 저렴한 가격이지만 단점으로는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모르는 점, 누군가가 이미 탔다는 점이 있다보니 고가의 차량을 선택하는 분들의 수요가 많지 않을것 같습니다.

    1억 ~ 3억의 차를 구매하는 수요자 입장에서 위에 있는 단점을 가지고 구매하는것보단 조금더 주고서 신차를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그외에 수리비도 어느정도 가격 하락의 요인일 것으로 보입니다.

    차량의 가격은 하락했어도 해당 차량의 부품은 가격이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보통 물가 상승에 따라 해당 차량의 부품은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중고차 가격이 3천~5천이라고 하더라도 부품값은 3천 ~ 5천 차량의 부품값은 아니니깐요


  • 안녕하세요. 굳센때까치29입니다.

    차량 유지비와 감가율의 비례관계가 있습니다. 출고 3년 이후부터 보증기간이 끝나며 차량 유지비가 크게 늘어납니다. 중고차 시장에서는 차량 유지비가 높은 차량일수록 감가율이 높습니다. 신차 프로모션, 중고차 시세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전모델, 옛날 모델 이라는 이유로 가격은 급하락 합니다. 그리고 신차 프로모션의 폭이 크기 때문에 중고가 하락의 폭도 큽니다.

    또한 가성비를 따지는 중고차 구매자들이 있습니다. 이런 수요층이 늘어나기 때문에 딜러측에서는 너무 비싸게 매입을 하면 부담이 되는 것이죠. 그렇기에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매입을하여 적당한 가격에 판매를 해야 판매가 되기 때문에 매입가를 낮게 잡고있죠. 수입차 딜러들 국산차 보다 부대비용 많이 발생 합니다. 중고차 들러들이 수입차 매입과 판매 과정에서 드는 부대비용이 국산차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상사 이전비가 국산차 보다 비싸며 정비가 필요할 경우 수리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딜러들 입장에서는 중고가를 더 낮게 책정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활달한거북이38입니다.

    서비스 기간이 종료되기 때문입니다. 외제차는 부품이나 잔고장이 났을 경우,

    수리비용이 국산차에 비해 많이 비싼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부품 등 수리 비용 서비스 기간이 끝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