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호기로운안경곰148
호기로운안경곰148
21.01.23

화장품섹터 주식 전망이 어떨까요 ?

주가가 최근 많이 올라서 너무 올라간 종목들은 매수하기가 무섭네요

화장품쪽 섹터가 지수 대비 좀 안오른것 같은데 매수를 고려해 보고 있습니다

올해 전망은 어떨까요 ?

중국쪽으로는 매출적으로 어떨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집요한양188
    집요한양188
    21.01.25

    한국 화장품은 아시다시피 전세계적으로 한국화장품이 유명 합니다. 한국인들이 유난히 피부관리도 잘해 한국화장품이 좋아서 한국인들이 다 피부가좋다라고 생각하는듯해요. 해외에서도 한국화장품하면 고급화장품인식이 기본이구요. 외국인들이 한국여행와서 무조건 사는 물건탑3 안에들죠 전망은 밝아보입니다.

  • 우선
    "주가가 최근 많이 올라서 너무 올라간 종목들은 매수하기가 무섭네요" 의 관점은 굉장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주식 투자에서 제일 기본이 되는 것이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인데, 현재 상황에서 너무 오르지 않은 화장품쪽 섹터는 좋은 투자 섹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다른 섹터보다 화장품 섹터가 유독 약했던 부분에 대해선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중국과의 관계때문입니다. 허나 트럼프 -> 바이든으로 바뀐 상황에서 보호무역의 분위기가 사그라들고 동맹무역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한국에게 가해진 사드보복 측면도 완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는 화장품섹터에 굉장히 큰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어서 매출적인 요소로는 현재 중국으로 나가는 대부분의 화장품 매출은 LG생활건강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회사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 하나의 불안 리스크로는 보복이 없어져도 과거 중국인이 한국 화장품을 사재기 하던 것과 같은 일이 또 일어날 것 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요소가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1.01.24

    종국소비재 종목들. 코스닥 시장에 지수를 견인할 수 있는 섹터 입니다 제약바이오 섹터 다음으로.

    대표적으로 화장품, 그리고 엔터 여행. 이렇게 나뉘어 지는데요 국내 시장에 중국 소비재 관련주들이 상승할려면

    그 대전제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바로 한한령 해제 , 즉 중국 단체관광 허용이 되어야 합니다 .

    이전에 TV에서 자주 보셨죠? 명동에 중국인 관광객들이 화장품 같은걸 쓸어 담아 가는거를?

    이런 그림이 뉴스로 전해져야 합니다 중국관광객들이 한국에 단체 관광을 오게 된다면 중국소비재 관련주 중에 화장품 관련주들은

    즉각 주가가 반응을 합니다 한한령 해제? 한한령 기대감? 만으로도 들썩이죠 주가는

    한한령 해제가 되면 그 즉시 화장품 관련주는 급등하게 되구요 이는 곧바로 화장품 관련주의 실적으로 바로 이어집니다

    화중품주의 올해전망이나 몇년전 전망을 항상 같았습니다

    무조건 한한령 해제가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 코로나 시대에 중국 단체관광객들이 한국에 관광을 온다?

    아직 먼 이야기 같구요 단기로는 코로나 19가 자잠해지면 시진핑이 방문한다는 이슈로 움직일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