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나 한국의 기준금리는 작년에 비해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승 추세가 굉장히 둔화되었고 향후 금리인상을 통한 '정점금리' 수준이 예측이 되고 있고 그 정점금리 수준까지 0.25%~0.5%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라는 점이 시장의 금리인상에 제한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출금리와 예금금리는 작년 12월 초를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보였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 정부의 '예금금리 인하 압박'으로 인한 것인데, 정부가 예금금리를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올리지 못하게 눌렀던 것은 '부동산 침체'로 인한 건설사들의 대규모 부실을 막기 위해서로 보입니다.
건설사들과 PF대출에 투자를 하였던 증권사들은 이러한 금리 누르기로 인해서 채권에 자금이 몰리게 되었고 금리를 더욱 저렴하게 발행할 수 있어서 큰 혜택을 보았고 특히나 둔촌주공의 계약율을 본다면 정부의 이러한 예금누르기를 통한 건설사 살리기는 어느정도 성공을 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시장을 역행한 금리 누르기가 향후 실제 금리인상이 추가적으로 단행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개인들의 부실화를 더욱 키울수 있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