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갸름한칠면조122
갸름한칠면조122

멀쩡한 바닥에 물이 고여있는 것은 무슨 원리일까요?

안녕하세요?

가게에 출근해보면 밤새 무슨 일이 있었는지 바닥에 물이 두잔정도 분량이 고여있는 것을 자주 보게 됩니다. 천장에서 물이 떨어진 것도 아닌데 가만히 있던 바닥에 물이 고이는 것은 대체 무슨 영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면에 크랙이 있는경우 크랙을 타고 흘러들어오거나 아래에서 새어나왔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바닥이 그 부분만 차가워져있을 경우 공기중의 수증기가 액화되어 웅덩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닥에 물이 두 잔 정도 고여 있는 현상은 "이슬"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슬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온도가 낮아지면 응결되어 액체 수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바닥이나 다른 표면이 주변보다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결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밤에는 지표면이 냉각되어 이슬이 형성되기 쉽습니다. 이슬 현상은 공기 중의 수증기와 온도, 습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무실 내부가 습한 경우 안과 밖의 온도차에 의해서 결로 현상이나 액화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분이 바닥의 움푹 패인곳에 모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