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22.03.27

방귀소리, 냄새는 사람마다 왜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인 생리현상인 방귀.

냄새 및 소리 때문에 다른사람들한테 민폐나 민망한 상황이 발생할수도 있잖아요. 방귀는 소화과정에서 생기는건 아는데 왜 생기는지 궁금하며 배출시 소리 및 냄새가 다른이유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나명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방귀에는 상당 부분 장내 세균들이 관여합니다. 우리가 음식물을 먹으면 음식물이 여러 차례 분해되어 장으로 내려갑니다. 여기서 다시 영양분 흡수가 이루어지며 흡수하는 과정에서 인간 신체에 흡수하지 못하는 여러 영양분을 장내 미생물이 분해하고, 분해된 부산물을 만듭니다. 이 부산물 중에서는 인체에 필수적인 것들이 있습니다. 장에는 엄청난 양의 미생물(대략 1km 수 조 마리)가 있는데, 이들이 분해하면서 가스를 만들어 냅니다. 그 가스가 방귀로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냄새는 장내 구성 미생물과 그 날 먹은 음식에 따라 달라지고, 소리의 경우 괄약근의 조임 정도와 가스양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 인체 내 소화과정에서 생기는 방귀는 대개 소화기관 내에서 발생한 가스들이 직장을 거쳐 배출되는 것입니다. 방귀의 냄새는 소화기관 내에서 발생한 가스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로 설탕, 식물성 섬유, 동물성 단백질 등을 섭취한 경우 냄새가 강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과정에서 생성되는 메탄, 황화수소 등의 가스들도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방귀의 소리는 대개 직장에서 가스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소리의 크기는 가스의 양, 충돌 속도, 직장 내부의 압력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소화기관의 상태나 섭취하는 음식 등에 차이가 있어 방귀의 소리와 냄새가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방귀를 뀔때 힘주는 힘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먹은 음식이 다르기때문에 소리와 냄새가 다릅니다

    그리고 장의 모양과 항문에 모양도 달라 소리가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사람의 장내환경 및 소화환경과 관련이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 및 효소할동에 의해서 가스가 발생하는데요.

    이 가스의 성분역시 그 사람의 환경을 따라갑니다.

    감사합니다.


  • 간단히 생각해보면 사람마다 소화기관의 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먹는 것이 다르니 소화 후 배출해야하는 노폐물도 다릅니다.

    따라서 소리 및 냄새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