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22

현재 코로나 치료에 쓰이는 약이 있나요?

나이
25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최근 코로나를 걸렸을 때, 복용했던 약들은 해열제 등 소염진통제? 등의 약 이더라구요.

혹시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은 현재까지 개발된게 없는건가요?

한국에서 코로나 약 개발을 하고 있는 회사가 몇곳 있다고 한거 같은데.

혹시 위 약 개발하는 임상실험에 참가하여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탁월한개구리30
    탁월한개구리3022.10.24

    안녕하세요. 전세이 약사입니다.

    코로나 치료제로는 항바이러스제인 베클루리주,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가 있습니다만 이는 중증으로 이행했을 경우 사용하게되는 약제이며 대부분은 증상에 맞춰 해열제, 소염제, 진해제, 거담제, 비충혈제거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 참가여부는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으니 이를 염두해두시고 신중히 판단하여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팍스로비드가 현재 처방이 되고 있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를 차단, 코로나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생성을 막아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치료제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도 코로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임상시험에 참가할 때는 부작용의 가능성을 염두하고 결정하길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먹는 치료제는 현재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가 있으며, 투여 가능 대상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에게 처방이 가능합니다. 1일 2회씩 총 5일간 정해진 용법·용량(팍스로비드: 1회 3정 라게브리오: 1회 4정)에 맞게복용하게 됩니다.

    코로나 19 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은 코로나 19 확진3일이내 조건에 부합할때 참여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임상시험에 대한 궁금증은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ovid19.koreaclinicaltrials.org/covid19m/main.do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20대 성인이 코로나에 감염된다면 기저질환이 없다면 특별히 코로나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고

    코로나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들을 대증치료하면서 코로나를 이겨내도록 되어있습니다.

    약을 복용하시고도 증상이 악화되어 고위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입원치료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직 20대가 복용할 수 있는 코로나 치료제들이 개발되지 않았지만

    고연령, 고위험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복용할 수 있는 코로나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으로 현재 팍스로비드가 상용화되어 처방이 되고 있으며 임상시험은 개인의 선택으로 부작용의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기에 신중하게 결정하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증상이 경미해서 굳이 전문치료제를 복용하진 않습니다.

    어르신이거나 폐렴증상을 동반하거나, 입원할 정도의 심한 증상이 있으면 전문치료제 사용 고려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렉키로나주/렘데시비르/팍스로비드와 같은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을 사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외국계 치료제는 이미나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나이티드 제약회사에서 코로나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1임상을 마친상태이고 2차 임상에 들어 갔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코로나19에도 특화된 약물은 있지만 독감에 쓰는 타미플루와 같은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약물은 현재까지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팍스로비드와 몰누피나비르가 대표적인 약물입니다.

    팍스로비드는 대조군에 비해 입원 및 사망률이 89% 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와 긴급승인 및 사용중에 있습니다. 팍스로비드라고 명명된 이 치료제는 nirmatrelvir + ritonavir라고 하는 약물의 조합으로 전자가 바이러스가 증식을 방해하고 ritonavir는 nirmatrelvir의 혈중 농도를 오랫동안 높게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팍스로비드는 경중증 코로나19환자 중 12세이상, 40kg 이상인 군에서 복용할 수 있으며 특히 중증 코로나19 진행 가능성이 높은 군에게 투여토록 권고하고 있으며 1회당 3알을 매일 2회, 총 5일간 복용합니다.

    화이자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경우 약물간 상호작용이 많으며 흔히 알려진 부작용으로 근육통, 고혈압, 설사, 미각 변화, 간기능이상, HIV 치료제에 대한 내성 증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임산부에 대한 안전성은 아직 인체시험에서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복용 전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푸조신

    페치딘, 피록시캄

    아미오다론, 퀴니딘, 프로파페논

    콜키친

    클로자핀

    스타틴

    실데나필

    미다졸람

    카바마제핀, 페니토인

    리팜핀

    몰누비나피르의 경우 치료 효과가 화이자 경구약제에 비해 떨어지고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뼈와 연골에 독성이 동물실험에서 보고되어 18세 이상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동물실험에서 임신시 태아에게 해를 입힐 수 있어 사용전 가임기 여성에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약물간 상호작용도 있어 의사가 판단 후 특정 적응증에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제는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가 대표적입니다. 임상실험 참가여부는 본인의 결정이라 의사들이 무어라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팍스로비드 등 몇가지가 나와 있어요

    --------------------------------------

    FDA에 따르면 가정에서 팍스로비드를 복용할 수 있는 대상은 코로나19 감염 시 입원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 성인과 12세 이상 소아 환자,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 등이다.

    몸무게 40㎏ 이상이어야 이 알약을 복용할 수 있다. 팍스로비드를 구매하기 위해선 병원의 처방전을 받아야 한다. 코로나 감염 증상이 나타난 직후부터 5일 동안 12시간마다 복용해야 한다. 미국에선 1코스당 530달러(약 63만원)의 가격이 책정됐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효소(3CL 프로테아제)를 억제해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생성을 막아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앞서 화이자가 진행한 임상시험에선 코로나 증상 발현 3일 이내에 팍스로비드를 투여했을 때 입원·사망 위험이 89%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급격히 확산 중인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도 효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약물은 아직 없습니다.

    코로나 치료제로 불리는 경구 약들도 코로나에 감염되었을 시 사망률과 위중증률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약품들이고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약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로는 경구용으로 팍스로비드나 라게브리오 주사로는 레키로나주 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팍스로비드 등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니르마트렐비르와 리토나비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니르마트렐비르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차단해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선되는 것을 막으며 리토나비르는 이러한 니르마트렐비르가 분해되는걸 억제하여 줍니다.

    임상실험은 위험할 수 있으니 잘 알아보고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팍스로비드나 라게브리오 등의 약제가 개발되어 있지만 이 약을 개인 병원이나

    약국에서 판매하지는 않는데 이는 일반적인 코로나 감염의 경우, 젊은 성인에서는 치명률

    이 높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임상 시험에 참가하려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재 코로나

    외에 어떤 바이러스 치료제라도 아예 병에 걸리지 않거나 아무 증상도 없게 만드는 약제

    는 없는 것이 사실이며 코로나 관련 사망이 주로 65세 이상에 집중되어 있어 이들의

    사망률을 낮추는 데 집중하는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감염시 경증의 경우는 호흡기 증상 및 발열에 대한 대증치료를 시행하며, 대부분은 경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고령 및 기저질환자 등의 고위험군에게는 팍스로비드 등이 투여되고 있습니다.

    임상실험에 참가하시기는 아직 확실한 증명된 것이 없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결정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코로나 치료제는 이미 나와있습니다. 다만 처방가능 대상이 고위험군 노년층이나 면역저하자 등에게 한정되어있습니다. 일반인은 그냥 가만히 있어도 면역작용에 의해 바이러스는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사용중입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을 차단합니다. 65세 이상과 면역저하자에 우선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약국에서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는 없습니다. 증상발현 5일이내 투약을 시작해야합니다. 5일동안 복용하고 증상이 좋아져도 끝까지 복용해야합니다.

    진통제, 항협심증제, 항통풍제, 진정수면제와 같이 복용하면 독성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설사, 오심, 미각이상입니다. 대부분 약을 중단할 경우 호전된다고 합니다.

    효과가 100%가 아니므로 아직은 백신으로 감염예방이 효과적입니다.


  • 현재까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들로 팍스로비드나 렉키로나주 같은 약물들이 개발이 되었으며 이미 실제 환자들에게도 투약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중증 감염자에게만 선별적으로 처방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팍스로비드라는 코로나 치료제가 있습니다. 특정인에게만 처방이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금은 감기정도로 받아들여서 감기약이 처방이 나갑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코로나 치료제는 이미 개발되어 사용중에 있습니다. 다만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해서 중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줄이는 효과를 보일 뿐이지요. 바이러스 감염은 결국 인체의 면역에 의해서 해결되는 질환이고 면역이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때까지 약으로 최대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 됩니다. 독감 치료제인 타미플루도 결국 마찬가지의 효과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이구요. 임상 실험 참가는 충분한 설명을 듣고(부작용 여부) 결정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해도 괜찮다고 말씀 드리기가 참 어려워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시판되어 사용중인 약으로는 팍스로비드와 라게브리오가 있고 코로나 전담병원에서만 처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코로나19 경구치료제로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가 있고 주사치료제도 있습니다. 그외 다른 경구치료제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은 우리나라에서 팍스로비드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질문자님이 원하시는 먹으면 바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모두 사멸하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중화항체가 아니므로 말씀하신 치료제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코로나를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은 화이자에서 개발한 팍스로비드가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치료제가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단기간의 임상 과정을 거쳐 나온 만큼 완벽하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백신 및 치료제는 단기간에 개발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 임상 과정을 거쳐 나온다면 최소 50년 이상은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