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성숙한부엉이53
성숙한부엉이5322.04.01

금리가 인상하면 국내증시는 조정이오고, 미국주식은 올랐다는데 앞으로는 어떨까요?

과거 지표 보면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증시는 조정이 오고,

미국 주식은 우상향했다는데 왜 그런지가 궁금하네요~

금리인상은 몇번 더 시행한다고 알고있는데

미국주식과 국내주식의 앞으로의 전망이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 시장의 조정 또는 횡보 국면은 길면 2022년 내내 진행될 듯합니다. 3월에 낙폭 과대로 일부 반등하는 모습도 있었으나 지난 2~3년간 과매수로 인한 주가 상승폭을 고려하면 아직까지 제대로 된 조정을 받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의 속도가 빨리 지고 한 번에 0.5% 이상 인상하는 빅스텝을 밟게 되면 한국 주식 시장은 추가 조정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 스케줄과 인상 폭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어느 정도 진정 국면으로 접어 들게 되면 4분기 내외부터 주식 가격이 상승으로 방향을 틀 수도 있습니다. 현시점 적극적인 투자는 권하지 않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2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국주식은 FOMC 결과와 ①미국 예상 밖 오미크론 경제 파장(IMF 성장률 하향 쇼크)+②우크라 사태로 국제유가 등 만만찮은 인플레 잡기+③바이든 정국주도권 약화 BBB법 사실상 무산, 대규모 축소 개정안 재추진+④ 발표 미국 경제지표 줄줄이 부진과 미니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와 FOMC 결과에 따라 상승으로 이어나갈지 알 수있습니다.

    국내주식의 현황은 빚투’(빚내서 투자)로 인한 반대매매 규모가 증가하고, 가계 부채 리스크도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반대매매는 투자자가 증권사에 돈을 빌린 뒤 만기 내에 갚지 못하면, 고객 의사와 관계 없이 주식을 강제로 일괄 매도하는 것을 뜻합니다. 지난해 4~5% 수준을 유지하던 미수금 반대매매 비율은 최근 들어 10%를 웃도는 상황입니다.


  • 국내 및 해외증시는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슈에 따른 경제적 제재등으로 인한 원인과 금리인상등 여러 악재등이 겹쳐

    변동성이 크고 특히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의 장기전 또는 전쟁결과에 따라서도 다르다고 할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시장만 보아도 작년 12월을 고점으로 하방후 반등하긴하나 뉴스등 해외 이슈에 따른 변동성이 큰 시장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