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가 발생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설비에 관심이 있는 30대 여성입니다. 요즘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 전기화재는 어떻게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입니다. 전기화재는 직접적으로 나는 화재가 아닙니다. 먼지나 가연물질이 전기설비 근처에 있으면 전기적인 아크나 열로 인해서 가연물질에 불이 붙어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화재는 보통 설비의 노후화로 인해 고열이 발생되고 이 열이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외에도 폭발사고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기기사입니다.
전기화재 주요 원인은 다양합니다. 과부하, 단락, 접촉불량 노후된 전선, 누전 불량개조 등이 있습니다.
과부화는 한회로에 너무 많은 전기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면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허용치초과합니다. 이런경우 전선이 과열되어 절연피복이 녹고 화재가 빌생합니다. 이러한경우는 사실 올바른 전선굵기를 선택하고 과부하 차단기를 잘설치하면 해결될 문제인데 그렇지 않게 하면 과부하로 화재가 발생합니다.
단락및 합선은 핫선과 중성선이 접촉이 되는 현상인데 이런경우 전휴가 순간 크게나면서 스파크가 발생하고 이걸로 인해 주변에 착화가되는 현상입니다. 접촉불량은 접촉을 느슨하게 되면 전선이나 배선에 열이 발생합니다. 그 열이 축적이 되면 화재가 이어지죠 이렇게 많은 화재 원인이 있지만 전선의 선굵기와 올바르지 않는 차단기를 설치한곳이 많아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수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사례가 많아도 아직도 안전불감증에 살고있습니다. 지금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는다고 안심할게 아니라 미래에 화재에대한 예방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설비를 운영하고 있을때 가장 걱정되는 것은 전기화재입니다. 이러한 전기화재가 발생하는 이유는 전선이 견딜수 없는 과전류가 흐를때 이에 대한 발열이 되어 화재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기화재는 일반화재처럼 쉽게 소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를 쉽게 끌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고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거나 노후화된 전기설비를 사전에 교체하여 이러한 부분을 사전에 교체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