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길쭉한봉고184
길쭉한봉고184
24.08.31

전기화재는 어떻게 해서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설비 안전분야에 근무하는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최근에 전기화재가 많이 발생해서 고민이 많은데 구체적으류 전기화재는 어떻게 해서 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산업현장에 전기안전관리자로 일하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전기화재는 크게 누전과 설비 과부하 두개로 나누어집니다. 누전의 경우 누전차단기가 아닌 배선용차단기를 설치되어 있을 경우 지속적인 누설전류다 먼지나 종이와 같은 가연성 물질에 접촉되면서 나는 것이고 과부하의 경우는 피복이 열에 견디지 못해서 번겨지면서 나는 화재를 말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화재는 주로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우선, 전선의 과부하로 인한 발열 현상이 있습니다. 전선이 견딜 수 있는 전류를 초과하면 과열되어 불이 붙을 수 있습니다. 오래되거나 손상된 절연체 역시 화재의 원인이 됩니다. 전기가 새어나가면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접촉 불량으로 인한 저항이 높아져 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기 기기의 결함이나 잘못된 사용도 위험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과 적절한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규 전기기사입니다.

    전기설비에 의한 화재는 모두 열에의해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전기설비의 발열은

    과부하, 단락, 지락에 의한 과열로

    발생됩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가 동작을

    해야되나 그조건이 불충분한경우에

    발열이 생겨서 화재가 난다고 보시면됩니다

    과부하시 차단기트립이나 단락시, 지락시

    차단기가 동작되면 화재의 염려는 없습니다

    이것이 잘안되고 관리가 어려우니 문제죠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와우 30대전기화재에 고민이 많은 전기설비 담당자님.. 플랜트 전기도 잘 담당하시나요?

    전기화재는 대부분 과용량사용으로 발생하죠.

  •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 화재 같은경우 전선에 과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여 피복이 녹아서 그로 인해 전기화재가 발생 할수 있으면 그리고 전선 피복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또한 화재에 원인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화재의 원인으로는 과전류, 단락, 지락, 누전 등이 있습니다.

    전기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안전검사 및 사고예방을 철저히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