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심한곰255
심심한곰25522.11.10

바다가 추워도 얼지않는 이유가 있나요?

겨울철이면 계곡물이랑 강가에 물들이 많이 얼어있는데.

바다는 아무리 추워도 얼지않더라고요.

파도의 영향이 큰지 소금의 영향이 큰지 왜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0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염도가 높아서 맹물에 비해 어는점이 2도씨 낮습니다. 겨울철 바닷물을 바가지에 담아 야외에 놓아두면 온도가 -2도씨 이하로 내려가면서 얼게됩니다. 하지만 바다는 바가지보다 크고 깊습니다. 바다는 오랫동안 태양열을 받아 따듯해진 열을 품고 있고, 바닷물은 쉬지않고 순환하고 있기 때문에 몇개월 추워졌다고 -2도씨 이하로 온도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바닷물이 얼기 위해서는 아주 길고 추운 겨울이 필요합니다.


  • 바다가 담수보다 잘 얼지 않는 이유는 염분의 영향으로 어는점이 내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다에는 소금, 마그네슘, 브롬, 우라늄등 많은 양의 염류가 녹아 있습니다.

    이 많은 염류들이 물 분자 사이에 녹아 들어가 물의 밀도를 높게하여 어는점이 내려갑니다.

    염분농도가 평균 3.5%인 바닷물은 일반담수보다 2도정도 어는점이 낮습니다.

    하지만 영하 10도가 되어도 바닷물이 얼지 않는 이유는

    바다가 워낙 깊고 넓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온도가 영하10도이어도 바닷물 깊은곳까지 온도가 내려가려면

    많의 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해류로 인해 계속적으로 순환하므로

    바닷물이 어는점인 -2도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소금 때문에 어는점이 낮아져 잘 얼지 않습니다. 하지만, 바닷물의 어는점은 -2도로 그렇게 낮은 온도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얼지 않는 이유는 바다가 드넓기도하고 파도가 치거나 출렁임이 있어 얼음이 금방 깨지곤 하여 잘 얼지 않죠. 하지만 많이 추울 경우 해안가의 바다가 서서히 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성분의 차이때문입니다.
    예를들면 암화나트륨이 78%, 염화 마그네숨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런 불순물로 인해 바닷물은 0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

    그래서 극지방처럼 최저기온이 영하3~40도까지 내려가는 곳은 바다 표면이 얼어붙어 빙하지대가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염분이 3.5% 녹아 있어서 어는점이 강이나 호수에 비해 -2도로 낮습니다. 그리고 강이나 호수는 기온이 내려가면 수온도 낮아져서 쉽게 얼지만 바닷물은 계속 순환하고 있어서 쉽게 온도가 내려가지 않습니다. 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닷물이 순환해서 골고루 데워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동해안도 한겨울 추위에도 바닷물 수온이 평균 10도 정도는 유지가 됩니다. 수온이 영하2도까지 내려가지 않아서 얼수가 없습니다. 바닷물이 얼려면 영하20도로 한낮에도 유지가되면 얼수 있는데 동해안은 바닷물 순환이 잘되서 얼기 어렵고 바닷물 순환이 안되는 일부 지역은 바닷물도 얼음이 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는 일반 물보다 소금물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소금물은 일반 물보다 어는점이 낮아져서 더 낮은 온도에서 얼기 때문에 잘 얼지 않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는 나트륨을 포함한 여러 물질들이 녹아있는데 이것들이 물분자의 결합을 방해하여 어는점을 낮추게됩니다.


    따라서 바닷물은 약 영하20도이하정도에서 얼기시작합니다.


    또한 파도가 치는 물리적인 방해요소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 전문가 입니다.

    아무것도 포함 되어 있지 않는 순수한 물은 0도에서 얼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순수한 물과는 달리 염분을 비롯한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바닷물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소금 속의 성분 중 염소 성분은 잘 얼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는 물이 어는 것을 방해합니다.

    이와 함께 바닷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물질들 또한 소금과 함께 어는점을 내려서 순수한 물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하는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일으켜서 바닷물은 잘 얼지 않습니다.

    또한 바다의 경우 파도가 계속 치기 때문에 파도가 바닷물이 어는 것을 방해하기도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소금기 염분때문입니다.

    바다에 비해 계곡이나 강가는 상대적으로 염분차이가 심하게 차이납니다. 쉽게 말하면 소금기가 많을 수록 어는 온도가 낮아집니다


  • 물의 어는점은 0도 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순수한 물의 경우이고, 불순물이 포함되면 보통 어는점이 낮아집니다.

    염분이 섞인 바닷물은 어는점이 낮아 잘 얼지 않습니다.

    물이 얼기 위해서는 물 분자가 고르게 배치되어야 하는데,

    염분이 이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물을 얼지 못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