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통 눈을 맞추고 가만있질 않습니다.
요즘엔 혼낼때도 일부러 딴청부리거나 못들은척 하는것 같네요.
어제도 목욕 후 옷을 안입으려고해서 30분 가까이를 거의 발악수준으로 울다 지쳐 잠들었습니다.
잠든 아이를 보니.. 과연 엄마로써 어떻게 하는것이 올바른 훈육인지..
아이에게 미안하고 안쓰럽고.. 마음이 쓰여 쉽게 잠이 오질 않았습니다.
평소엔 잘놀고 예쁜짓도 많이하고 착한데.. 저렇게 떼쓸때는 통제가 안되니.. 걱정입니다.
현명한 맘들의 아이 훈육방법을 듣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매우 혼란스럽고 속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고 단호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떤 행동이 허용되지 않는지, 그리고 어떻게 대처할지 미리 계획을 세우세요.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고 지키도록 유도하세요.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동시에 잘못된 행동임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세요. 아이가 너무 흥분했을 경우 잠시 동안 방에 혼자서 생각할 시간을 주세요. 이때 아이를 비난하거나 무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아이가 떼를 쓸 때는 감정을 가라앉히고 안정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보통 훈육 방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아이가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잘못하더라도 여전히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고, 자신감을 심어주세요. 이러한 훈육 방법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다 보면 아이가 점차 안정되고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눈을 마주치치 않고 떼를 부리는 이유는 아이는 지금 이 상황에서 어떻게든 벗어나고 싶어하기 때문에 크게 소리를 지르면서 떼를 부리고 우는 것입니다.
아이가 떼를 부리고 울고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옳지 않기 때문에 이는 단호하게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떼를 부리고 울고 소리를 지른다면 우선은 아이의 떼와 울음이 잠잠해질 때 까기 기다려 주세요.
아이의 떼와 울음이 잠잠해지면 그때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떼를 부리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떼를 부리고, 소리를 지르고,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떼를 쓰는 것은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아이에게 일관된 규칙을 적용하고 대활를 통해 원인을 파악해보세요. 칭찬과 보상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기는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입니다. 이럴 때는 차분하게 상황을 정리하고, 규칙을 세워보세요. 일관된 대처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혼을 낸다면 훈육이 되지 않고 교육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성난 엄마에 목소리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심리적인 위축이 됩니다 그래서 엄마가 혼을 내면 눈을 마주치지 않고 딴곳을 바라보게
됩니다 무섭기 때문 입니다
우선 아이가 목욕후 옷을 입지 않겠다고 하면 ㅇㅇ야 왜 옷입는 것이 싫어? 하고 관심을 보이고 아이의 마음을
알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알아야 아이에게 옷을 입힐 수 있고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 할수 있습니다
아이를 대할 때 화가난 목소리나 흥분한 상태는 좋지 못합니다
항상 평정심을 유지한 편안한 목소리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떼를 쓸때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시면서 공감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대화를 통해 문제행동 원인을 찾고 같이 해결책을 찾아보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어린아이들은 감정 조절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때때로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일관된 훈육과 감정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먼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아이에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울고 떼쓰는 대신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너가 지금 화났구나, 기분이 어떠니?"와 같이 감정에 대해 이야기해 주는 것입니다.
훈육 시에는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특정 행동을 했을 때, 그에 대한 반응을 일관되게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반응에 부모는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규칙을 정하였으면, 일관성을 가지고 계속 해주셔야 합니다.
잘못된 행동에 훈육을 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행동에 칭찬과 보상을 많이 해주세요
아이는 더 긍정적인 행동을 하려고 노력 할 겁니다.